서울시약, 발사르탄 사태 "규제완화와 제네릭 정책"이 원인
심사. 허가제도, 약가정책. 원료약의 안정성 강화등 대책 필요
서울특별시약사회(회장 김종환)는 지난 6일 발사르탄 고혈압치료제 59개 품목 추가 판매중지와 관련해 현재의 규제완화로 인한 제네릭 제품 난립 및 영업구조와, 상품명 처방 방식이 지속되는 한 이러한 사태는 향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정부에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시약사회는 6일 성명을 내고 “의약품의 안전성을 무시한 무분별한 규제 완화정책이 불러온 제네릭의약품 정책과 시장의 민낯을 여실히 보여줬다”고 일침을 가하고 “지금이라도 보건당국은 위·수탁 대상 의약품의 조건과 생동성시험 관리를 강화하는 등 제네릭의약품의 심사·허가 제도 및 약가정책을 개선하고 원료의약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임을 촉구했다.
숱하게 쏟아지는 제네릭 제품으로 인해 동일성분임에도 신약처럼 고유의 상품명을 사용해 약국에서도 무슨 성분인지 검색해 봐야 할 정도인데, 일반 환자들은 오죽 하겠으며 그 비난의 화살은 환자를 접하는 약국에 쏟아지는게 실태라고 강조했다.
이와관련 시약사회는 “제네릭의약품의 제품명만 보더라도 성분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네릭의약품의 상품명 표기방법을 반드시 개선해 줄 것을 보건당국에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또 “정부는 이번 사태에 대해 일련의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며, 원인관계가 규명된 피해를 입을 환자에 대해서도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서둘러 안심할 수 있는 의약품 공급체계를 구축하라”고 정부당국에 촉구했다.
'◆약사/의약품유통 > ▷약사, 약사회,약대,약국,학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바로쓰기운동본부,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업소 실태조사 (0) | 2018.08.09 |
---|---|
발사르탄 약, 기존 처방 중 잔여기간 만 재처방 요청 (0) | 2018.08.09 |
상비약 제산제. 지사제 추가 "사실아니다" (0) | 2018.08.09 |
약사회, 국가에 심야약국 관련 450만원 요구한적 없다 (0) | 2018.08.06 |
분회장협의체. 조찬휘약사회장 사건 항고 진행 (0) | 2018.08.03 |
약사회, "편의점산업협회 의약품 탐욕버리고 자정나서야" (0) | 2018.08.01 |
대한약사회 – 에이앤티 업무협약 체결 (0) | 2018.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