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서비스산업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지원 부족과 각종 규제로 인해 효율적인 결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이용균 연구실장과 김요은 책임연구원은 7일 한국병원경영연구원(원장 이철희)이 주최하는 ‘국내 의료서비스산업의 고용현황과 정책과제’심포지엄서 발표할 자료를 통해 의료서비스산업의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지원과 각종 규제완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 실장은 ‘국내 의료서비스산업의 경쟁력 분석’을 통해 의료서비스 산업의 노동생산성(종사자 1인당 GDP기준)은 2006년 기준으로 25.3백만으로 전체산업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를 내놓았다. 이같은 평가는 국내 의료서비스산업이 내수산업으로서 경쟁유인은 낮은 반면 정부에 의한 서비스 가격 역시 통제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특히 진입규제나 영업규제가 다른 업종에 비해 과다하고, 효율성의 도입이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낮은 의료가격으로 가격경쟁력이라는 강점을 갖고 지니고 있지만 정부의 의료시장 규제는 가장 큰 약점이라고 분석했다.
따라서 이 실장은“ 정책 우선순위에서 의료서비스 산업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지원과 함께 의료수요 및 공급자 선택의 폭 확대를 위한 규제완화가 우선시 되어야한다”고 주장했다.
김요은 책임연구원 역시 의료서비스산업을 통한 고용창출을 위해 가장 시급한 문제는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의 필요성이라고 강조하고 국내 의료 수요·공급의 균형, 의료서비스 제도 개선 및 R&D 투자 제고, 국제의료 활성화를 포함하는 의료서비스산업 혁신이야 말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