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탄수화물 지방 전환 유전자 발견 |
美,비만치료에 새로운 돌파구 열릴 듯 |
탄수화물을 간(肝)에서 지방으로 전환시키는 유전자가 발견돼 비만 치료에 새로운 돌파구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 영양학-독성학교수 설혜숙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DNA-PK(DNA-단백질 키나제)라고 불리는 유전자가 간에서 탄수화물을 지방으로 전환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DNA-PK는 DNA 손상 수리를 돕는 유전자이기 때문에 이미 많은 연구의 표적이 되고 있다. 항암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이 유전자를 억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기도 하지만 이 유전자가 간에서 지방을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연구팀은 쥐실험을 통해 이 유전자를 녹아웃(제거)시켜 보았다. 이 유전자가 없는 쥐들에게 지방은 없고 탄수화물이 70%인 먹이를 준 결과 이 유전자의 기능이 살아있는 쥐들에 비해 체지방이 40%나 적고 살이 찌지 않았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도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이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할 경우 빵, 파스타, 쌀식품 같은 탄수화물을 아무리 많이 먹어도 살이 찌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유전자는 인슐린이 간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면서 시작되는 일련의 연쇄반응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분자로 활약하는 것으로 보고있다. |
메디코파마뉴스 김종필기자 (jp1122@nate.com) |
기사 입력시간 : 2009-03-23 오전 8:45:30 |
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외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두에 혈압 떨어뜨리는 성분 함유 (0) | 2009.03.23 |
---|---|
COPD, 유전자 변이와 연관성 높아 (0) | 2009.03.23 |
소량음주가 뼈 골밀도 높혀 준다 (0) | 2009.03.23 |
안구건조증, 다른 전신질환 여부살펴야 (0) | 2009.03.20 |
비만여성 불임잦은 이유 밝혀져 (0) | 2009.03.18 |
획기적알레르기비염 치료제 실용화 임박 (0) | 2009.03.18 |
충분한 칼슘섭취가 식욕 억제한다 (0) | 2009.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