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레비미스,CMV 감염 및 질환 예방의 새로운 패러다임
MSD, 항균요법학회∙감염학회 춘계학술대회서 소개
한국MSD (대표이사 케빈 피터스)는 자사의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이하 CMV) 감염 및 질환 예방 약제인 ‘프레비미스(성분명: 레테르모비르)’가 4월 2일 열린 2021 대한항균요법학회∙대한감염학회 온라인 춘계학술대회에서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서 CMV 감염 및 질환 예방을 위한 최신 치료 전략으로 소개되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심포지엄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 정희진 교수의 주도로 진행되었으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감염내과 이동건 교수가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에서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관리 전략 – 레테르모비르 등장 이후>을 주제로 최신 CMV 관리 전략을 제시했다.
이동건 교수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후 100일 내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은 감염이라고 밝히며,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체 중 하나로 CMV를 지목했다.
이식 후 CMV 감염은 위장관질환, 망막염, 폐렴, 간염 등 심각한 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시 공여자와 수여자의 CMV 혈청 상태는 수여자의 CMV의 재활성화와 연관이 있다. 공여자만 CMV 혈청 양성인 경우 30%에서, 수여자가 CMV 혈청 양성인 경우 공여자의 양성 여부와 상관없이 80%에서 CMV가 재활성화 되었다.
조혈모세포 이식 환자에서 CMV 감염을 치료하는 전략은 혈중 CMV 수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일정 수치를 초과하면 치료를 시작하는 ‘선제치료’이다. 그러나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CMV 재활성화는 수치의 높낮음과 상관없이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CMV의 재활성화 자체를 예방하는 방법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높았다.
이동건 교수는 CMV 감염 및 질환을 막는 치료 전략으로 프레비미스를 통한 예방요법을 소개했다.
프레비미스는 CMV 복제에 필요한 CMV DNA 터미나아제 복합체를 억제하는 기전으로 동종 조혈모세포 환자의 CMV 재활성화를 예방한다.프레비미스는 미국 종합 암 네트워크(NCCN)와 유럽백혈병감염학회(ECIL) 가이드라인에서 유일하게 CMV 1차(Primary, AI) 예방 약제로 추천되고 있다.
프레비미스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후 6개월(24주) 시점에서 위약군 대비 CMV 감염 및 질환 발생과(프레비미스 37.5% vs. 위약군 60.6%, p<0.001)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을(프레비미스 10.2% vs. 위약군 15.9%, p=0.03)9,b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프레비미스는 실제 병원현장자료에서도 CMV 감염 및 질환 예방 효과를 확인했다.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후 100일 내의 프레비미스 복용 환자는 CMV 재활성화율이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낮았으며(프레비미스군 20% vs. 대조군 72%, p<0.001), 100일까지의 누적 CMV 감염률은 프레비미스가 낮았다(프레비미스군 4% vs. 대조군 59%, p<0.001).
이동건 교수는 “동종 조혈모세포 환자에서 CMV 감염 및 질환 관리의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며, “올해 1월부터 PCR 검사에서 혈청 CMV가 음성으로 확인된 환자들에게 예방요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투여 요건이 완화되었다.이를 통해 환자들이 더 빠르게 CMV 감염 예방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0년 국내 출시된 프레비미스는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수술(HSCT)을 받은 성인 CMV-혈청양성[R+] 환자에서 CMV 감염 및 질환을 예방할 목적으로 투여하는 약이다.
이식 당일 및 이식 후 28일 이내 투여를 시작해, 이식 후 100일까지 투여할 수 있다.
이 약 정제(240mg, 480mg)와 주사제(240mg, 480mg)는 주치의의 결정에 따라 서로 교차해서 투여할 수 있으며,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반응형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크, 다발성경화증치료제 '마벤클라드' 새 데이터 발표 (0) | 2021.04.27 |
---|---|
로슈, '엔스프링' 국내 허가 (0) | 2021.04.27 |
엘러간 에스테틱스-애브비 컴퍼니, '쥬비덤' 심포지엄 (0) | 2021.04.23 |
바이엘 환경과학사업부, 말라리아사내 인식 제고 캠페인 (0) | 2021.04.21 |
화이자제약, 폐렴구균 예방접종 중요성 알려 (0) | 2021.04.21 |
GSK-비어 바이오테크놀로지, 이중 작용 단클론 항체 VIR-7831 EMA 심사 착수 (0) | 2021.04.21 |
로슈-굿피플, 온택트(ontact) 사회공헌활동 ‘힐링투게더’ 진행 (0) |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