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정책

7월 1일부터 동네병원 건강보험 적용 확대

jean pierre 2019. 6. 27. 07:43
반응형

71일부터 동네병원 건강보험 적용 확대

 

2·3인실, 응급실·중환자실 분야, 난임치료시술 등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 후속조치로 71()부터  동네병원 23인실, 응급실중환자실 분야, 난임치료시술에 대해 건강보험 지원이 확대되어 국민 의료비 부담이 줄어든다고 밝혔다.

 

먼저 1,775개의 병원·한방병원 입원실(2·3인실) 17645개 병상에 대해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 병원의 병상 분포 현황(’19.1월 말 신고기준) >

(단위 : , %)

구 분

(비중)

1인실

(비중)

2·3인실

(비중)

4인실 이상

(비중)

병상 수

181932

(100.0)

1620

(5.8)

17645

(9.7)

153667

(84.5)

* 병원 개소 수 : 전체 1,775개소(의과 1,469개소, 한방 306개소)

** 의료급여도 ’19. 7. 1 부터 적용 예정

 

작년 7월 건강보험이 적용된 상급종합·종합병원 2·3인실과 달리, 병원 2·3인실은 그간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병원별로 가격이 달랐다. 1일 입원 시 환자가 평균적으로 부담하는 금액은 2인실은 약 7만 원*(최고 25만 원), 3인실은 약 47000(최고 20만 원) 수준이었다.

 

일부 입원실의 경우 작년 7월에 건강보험이 적용된 종합병원(간호 3등급, 2인실 기준 약 5만 원)보다 병원의 평균 입원료(7만 원)가 높아 입원료 역전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병원·한방병원 2·3인실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면, 환자 부담이 2인실의 경우 7만 원에서 28000원으로, 3인실의 경우 47000원에서 18000원으로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간호 7등급 기준) 연간 약 38만 명의 환자들이 입원료 부담 완화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상급종합·종합병원과의 환자부담 역전 문제가 해소됨에 따라 동네병원의 이용이 늘고 대형병원 선호도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병원의 보험적용 전후 환자부담 변화 >

(단위 : )

구분

간호등급 7등급

간호등급 6등급

2인실

3인실

2인실

3인실

보험적용 이전(환자부담)

70,090

46,880

77,850

52,920

보험

적용 이후

입원료(A)

68,790

58,970

72,410

62,070

본인부담률(B)

40%

30%

40%

30%

환자 부담(A*B)

27,520

17,690

28,960

18,620

 

 

응급중증환자의 응급검사, 모니터링(확인점검) 및 수술처치 관련 의료행위·치료재료 125개에 대하여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장기이식 전 면역거부 반응검사 등 응급 검사 분야 7, 심장질환자 심박출량 확인·점검(모니터링), 마취환자의 체온 감시 등 검사모니터링 분야 18, 기도 절개 및 기관 삽입튜브, 후두마스크 등 수술처치 분야 항목 100개에 건강보험을 적용한다.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에서 실시하는 응급중환자 초음파에도 건강보험을 적용한다. 이러한 보험 적용 확대에 따라 기존에 환자가 전액 부담하던 검사비 및 소모품 비용이 1/2 ~ 1/4 이하로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어, 심장질환자의 심장박출량 등 심장 기능 모니터링은 기존에 비급여로 64000원 내외 비용 부담이 발생하였으나, 건강보험이 적용되면 26000(상급종합병원 기준)만 부담하면 된다.

 

독감(인플루엔자 AB) 간이검사를 응급실중환자실에 한정하여 건강보험을 적용하고, 기존에 비급여로 평균 31000원 검사비 부담이 발생하던 것이 건강보험 적용으로 1만 원(상급종합병원 기준)으로 줄어들게 된다.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한 응급의료기관에 한정하여 보험 적용하며, 응급실에서 독감 간이검사를 할 경우 응급의료관리료 등 별도 비용은 추가로 발생한다.

 

호흡이 곤란한 응급환자의 신속한 기도 확보를 위한 후두마스크도 비급여로 부담하던 평균 39000원 비용이 18000(상급종합병원 기준)으로 줄어들게 된다.

 

급성 심정지 환자에게 체온 조절을 통해 뇌세포 손상을 최소화하는 체온조절 재료는 비급여로 220만 원 비용 부담이 발생하였으나, 건강보험 적용으로 42만 원(상급종합병원 기준) 비용만 부담하게 된다.

 

응급·중환자 초음파는 4대 중증질환자 이외 모든 응급중환자에 대하여 보험적용을 확대하여 비급여 50억 원 규모를 해소하고, 환자 부담은 1/3 수준으로 줄어들게 된다.

 

환자들의 비용부담 감소와 함께 긴급한 응급상황에서 중증환자 진료에 필요한 수술재료, 처치 등이 보다 원활하게 제공됨에 따라 응급중환자 진료의 질적 수준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 된다.

 

아울러, 응급실중환자실의 비급여를 급여화하면서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정수가 보상 방안도 별도로 검토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 4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거친 난임치료시술(보조생식술)건강보험 급여기준 개선방안 또한 준비절차를 완료하고 71일부터 시행된다.

 

현재 난임치료시술은 법적 혼인 관계에 있는 여성 연령 만 44세 이하의 난임부부에 대해 체외수정시술 신선배아 4, 동결배아 3, 인공수정시술 3회에 대해 건강보험을 적용하고 있다.

 

이번 개선방안을 통해 연령 제한은 폐지하고, 체외수정시술 신선배아 7, 동결배아 5, 인공수정시술 5회로 확대하되, 이번에 추가된 부분은 본인부담률을 50%로 적용하기로 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관련 고시 개정안을 마련하여 행정예고(’19.5.156.4) 및 전산시스템 개편을 완료하여, 71일 이후 새롭게 시작되는 시술 회차부터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보조생식술 건강보험 급여기준 개선 >

 

현행

개선

비고

적용 대상 연령

여성연령

44세 이하

폐지

45세 이상 본인부담 50%

적용 대상 시술

 

 

 

체외수정

신선배아

4

7

4회 초과 시 본인부담 50%

동결배아

3

5

3회 초과 시 본인부담 50%

인공수정

3

5

3회 초과 시 본인부담 50%

 

일반적인 경우(즉 만 44세 이하 & 기존 횟수)는 본인부담률 30%이며, 난자 채취시 공난포만 나온 경우에도 본인부담률 30%로 적용 (기존 80%)된다.

 

손영래 예비급여과장은 올해 말로 예정된 복부 자기공명영상법(MRI), 전립선·자궁 등 생식기 초음파 보험적용 등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대책을 촘촘하고 차질없이 이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