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 '오마리글립틴', 자누비아와 유사한 효과
주 1회 투여 DPP-4 억제제.. 당화혈색소 감소
한국 MSD(대표 현동욱)는 제 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 중인 주 1회 투여 DPP-4 억제제 오마리글립틴이 임상 3상 시험의 1차 평가 목표를 달성했다고 밝혔다.i
이번 임상 시험 결과, 오마리글립틴은 기저치로부터 당화혈색소 수치 감소에 있어 1일 1회 투여 DPP-4 억제제 자누비아(성분명: 시타글립틴) 대비 비열등성을 나타냈으며, 당화혈색소 감소 효과는 오마리글립틴 투여 군과 자누비아 투여 군 모두에서 유사했다.
이번 직접 비교 임상 시험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처방되고 있는 1일 1회 투여 DPP-4 억제제 자누비아 100mg의 투여 대비 주 1회 투여 오마리글립틴 25mg 투여의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됐으며, 임상 시험 결과는 제 51회 유럽당뇨병학회 연례 학술 회의(51st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Annual Meeting)을 통해 발표됐다.
MSD의 당뇨병 및 내분비학 임상 연구 겸임 부사장인 샘 앵겔 박사(Sam Angel, M.D.)는 “제 2형 당뇨병은 전 세계 약 3억 8천 7백만 명이 앓고 있는 만성 질환이자 진행성 질환으로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며 “개별화된 혈당 목표 수치 달성 및 다각화된 치료 옵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목표 혈당 수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마리글립틴은 제 2형 당뇨병 치료에 있어 특히 주 1회 투여를 선호하는 환자들에게서 주요한 치료 옵션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MSD는 2014년 11월 일본 식약청(PMDA, Pharmaceuticals and Medical Devices Agency)에 오마리글립틴의 신약승인신청서를 제출했으며, 미국에서는 2015년 말까지 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한편 오마리글립틴의 임상 개발 프로그램, ‘O-QWEST(Omarigliptin Q Weekly Efficacy and Safety in Type 2 Diabetes)에는 3상 임상 시험 10개가 포함돼 있으며, 제 2형 당뇨병 환자 8,000 여 명이 참여했다.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노피'릭수미아'.. 식후혈당 조절 새 패러다임 제시 (0) | 2015.09.30 |
---|---|
김진호 GSK 한국법인 회장 금년말 퇴임 (0) | 2015.09.30 |
다케다 ‘익사조밉’ 유효성 및 안전성 연구 조명 (0) | 2015.09.25 |
추석 연휴, 대표적 감염 질환 인플루엔자 요주의 (0) | 2015.09.24 |
릭수미아, 식후 혈당 강하 및 체중 감소 효과 확인 (0) | 2015.09.24 |
화이자 '리리카', ‘Neurology Summit’ 심포지엄 성료 (0) | 2015.09.24 |
졸 메디컬, 런칭 기념 심포지엄 개최 (0) | 201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