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보 노디스크, 비만 치료와 GLP-1 유사체 세션 성료
비만학회 국제학술대회 ICOMES 2022에서
![](https://blog.kakaocdn.net/dn/ph4Ud/btrLzoVrQm7/uiwLzNwO8oyqfoaeHGZKAk/img.jpg)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사장: 라나 아즈파 자파)은 지난 9월 1일부터 3일까지 진행된 ‘2022 국제 비만 및 대사증후군 학회(ICOMES 2022, 2022 International Congress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에서 국내외 비만 치료 전문가들을 위한 런천 및 스폰서 세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7일 밝혔다.
‘더 넥스트 노멀: 비만 치료의 미래(The Next Normal: The Future of Obesity Care)’를 주제로 개최된 ICOMES 2022는 비만, 대사증후군, 이상지질혈증, 비만 관련 질환 등에 대한 기초의학과 임상의학과 관련된 깊이 있는 강연과 심포지엄을 포함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석해 다학제 학문 간의 상호 협력을 도모하는 대한비만학회 주관(주최)의 국제학술대회이다.
노보 노디스크는 후원사로 참여해 ,학회에 참석한 전세계 비만 치료 전문가들이 비만과 GLP-1 유사체를 활용한 비만치료의 최신 지견을 공유할 수 있도록 9월 2일에서 3일, 양일간의 세션을 마련했다.
행사 둘째 날 진행된 노보 노디스크의 런천 심포지엄은 ‘비만 치료를 위한 GLP-1 유사체 활용 최신 지견(New Insight on GLP-1 RAs in Managing Obesity)’을 주제로 진행됐다.
해당 심포지엄은 CM병원 내과 유형준 교수가 좌장을 맡고, 서울시 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오범조 교수가 발표를 진행했다.
발표에는 과도한 지방 및 체중 관리에 대한 필요성과 더불어 리라글루티드 3.0mg 관련 최신 지견으로, S-LiTE 임상연구를 포함한 여러 임상 연구를 소개하였다.
행사 셋째 날 진행된 기업 스폰서 세션은 ‘SCALE 연구 이후 비만 치료의 새로운 접근법(The New Approach to Obesity Care Beyond SCALE)’이라는 주제 하에 진행됐다.
SACLE Obesity and Prediabetes 임상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 중 리라글루티드 3.0mg를 투여한 환자군의 63.2%가 56주 후 투여 전 체중 대비 최소 5% 이상의 체중 감소를 보여1 삭센다의 체중감량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이번 스폰서 세션에서는 국내외 연자가 발표를 맡아, SCALE 임상 연구 소개 및 임상 경험에서 확인된 GLP-1 유사체의 체중 감량 효과 이외에도 최신 비만 관련 연구 결과 및 GLP-1 유사체의 강점과 활용법에 대해 설명했다.
해당 세션에서 아주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대중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임수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스웨덴의 카롤린스카 의대(Karolinska University, Sweden)의 미카엘 라이덴(Mikael Ryden)교수가 첫번째 연자로 나서 ▲비만 및 백색지방조직과 동반질환의 연관성(Obesity and White Adipose Tissue -Links to Comorbidities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정창희 교수가 ▲ GLP-1 유사체의 체중감량 이상의 이점들(Benefits Beyond Weight Loss with GLP-1RA)를,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권혁태 교수가 ▲ 비만 치료에서의 GLP-1유사체, 임상적 가치를 최대화할 수 있는 방법은?(GLP-1 RA for Obesity Management, How can We Maximize Its Clinical Value?)을 발표하며 GLP-1 유사체의 유용성을 강조했다.
반응형
'◆제약 > ▷외자계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더마, ‘스컬트라’ 글로벌 전문가 트레이닝 성료 (0) | 2022.09.08 |
---|---|
한국존슨앤드존슨 타이레놀 하반기 신규광고 진행 (0) | 2022.09.07 |
아스텔라스제약, 조혈모세포이식학회 런천 심포지엄 (0) | 2022.09.07 |
고령 심혈관 질환 환자 대상 치료 전략 제시 (1) | 2022.09.06 |
아스트라제네카, 2022 글로벌 바이오 콘퍼런스 참여 (0) | 2022.09.06 |
혈우병 A 치료제 ‘진타 솔로퓨즈’ 허가 확대 (0) | 2022.09.06 |
화이자 프리베나13, 대규모 연구 결과 허가사항 추가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