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세동환자 가장 중요한 치료목표는?
유럽지역 의사 2/3가 '허헐성 뇌졸중 예방'
유럽지역 2/3 이상의 의사가 심방세동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치료 목표를 허혈성 뇌졸중 예방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00명의 임상의를 대상으로 진행한 범유럽 온라인 설문 결과로 2013년 유럽뇌졸중학회에서 발표됐다.
이날 발표에서는 설문결과 외에도 심방세동 환자가 건강하게 생활하기 위해서는 허혈성 뇌졸중 위험과 환자 예후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의료 전문가들의 강연이 이어졌다.
허혈성 뇌졸중은 심방세동 환자가 겪는 가장 흔한 형태의 뇌졸중이며, 유럽 지역의 심장전문의와 일반의들은 심방세동 환자들이 허혈성 뇌졸중 발병 위험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약 3백만 명의 심방세동 환자가 뇌졸중을 경험하는데, 환자가 겪는 뇌졸중의 92%가 허혈성 뇌졸중이다.
허혈성 뇌졸중은 혈전 등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을 막아 발병한다.
뇌에 공급되는 혈류가 감소하거나 완전하게 막히면 심각한 중증 신체 장애 및 마비가 일어나며,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심방세동은 전체 인구의 약 2%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심장리듬 질환이며,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의 경우 뇌졸중 발병 위험이 5배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일 에센 대학교 신경과 총괄 한스 크리스토프 다이너 교수는 "뇌졸중 예방 및 치료를 담당하는 임상의들은 심방세동 환자들의 허혈성 뇌졸중 발병 위험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며, “최근에는 이를 예방할 수 있는 훌륭하고도 새로운 가능성들이 가까이에 있다. 치료를 담당하는 의사로써 검사, 진단, 위험평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뇌졸중 예방이 반드시 필요한 환자들을 확인하고, 환자들의 허혈성 뇌졸중 또는 두 개 내 출혈 발생 위험을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의료(의원,학회,논문. 신의술, 신간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암치료제 '크리조티닙' 환자 무진행생존기간 늘려 (0) | 2013.06.04 |
---|---|
11회 화이자의학상 수상자 공모 (0) | 2013.06.03 |
제2회 한국항공응급의료협회 춘계 학술대회 (0) | 2013.05.31 |
면역력 낮은 환자 침술 치료 주의 해야 (0) | 2013.05.30 |
6,7월 전국병원서 무료 알레르기 검사 진행 (0) | 2013.05.28 |
23회 분쉬의학상 후보자 7월 23일까지 공모 (0) | 2013.05.27 |
27~28일,11차 약물역학위해관리학회 학술대회 (0) | 2013.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