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응급약국 시행 3개월여 .. '효과없다'주장 | ||||||
지난달 경실련 이어 박은수 의원도 지적 | ||||||
| ||||||
심야응급약국 운영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대한약사회는 다수의 일선 약사들의 우려와 반대에도 불구, 심야응급약국 운영을 강행했으나 시행 2-3개월만에 파행운영이 곳곳에서 드러나 오히려 부메랑이 되어 돌아 오고 있다. 이와관련 지난달 경실련은 곳곳에서 부실 운영이 감지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의약품 수퍼판매 대안으로서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며 복지부에 공식 질의했다. 특히 경실련은 그나마 갈수록 점점 축소 되고 있어 벌써 문제점을 속속 드러내고 있다며 심야응급약국에 대한 복지부의 입장과 복지부와 약사회가 주체가 된 현 시범사업 관리 운영과 진행사항, 시범운영 6개월 평가 계획과 평가 주체 및 과정 등을 복지부에 공개 질의한 바 있다. 이어 최근 박상은 한나라당 의원은 국정감사를 통해 시범사업이지만 참여율이 갈수록 저조하다고 강조하고 의약품 수퍼판매를 검토해야 할 상황인 것 같다는 의견을 냈다. 박의원은 총 61개 참여약국중 서울에 39%가 집중되고 강원, 경북은 없으며 부산, 울산, 대전, 울산등 대부분의 광역시에는 24시간 운영 약국이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박의원은 시범 사업의 참여율 저조와 집중화등을 강조하며 이는 파행적인 시범사업으로 효율성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고 밝히고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신뢰성과 평가 의미가 없어지며 의약품 접근성 강화를 위해 일반약 수퍼판매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의약품수퍼판매를 주장하는 측의 감시아닌 감시로 인해 약사회는 더욱 어려운 처지에 놓일 가능성이 커졌다. 현재 초기 24시간 운영약국중 상당수가 시간 단축이나 조기 폐문등 파행이 드러나고 있는등 한계상황이 속속 나오기 때문이다. 약사회는 12월까지의 시범사업이므로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지만 시범 사업임에도 상당수의 약국이 한계를 느끼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이는 수퍼판매와 연관돼 집중 공격을 받을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이와관련 경기도의 한 약사는 3일 "시행초기 약사회가 좀 더 심사숙고했어야 했다. 의약품 수퍼판매 대안이 목적이었다면 심야응급 약국은 바람직한 대안이 아니었다는 의견이 시행전 부터 많이 나왔었으나 약사회는 이를 무시했었다"며 "사실 수퍼판매는 의약품이 지닌 위험성을 강조하고 약사들이 의무와 책임을 다한다면 큰 논란이 안될수 있는 사안"이라며 한 숨을 내쉬었다.
| ||||||
|
'◆약사/의약품유통 > ▷약사, 약사회,약대,약국,학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마퇴본부, 외국인대상 약물 남용 교육 (0) | 2010.10.06 |
---|---|
도봉강북구약, 신임 의장에 손태인 약사 (0) | 2010.10.06 |
서울시약, 약국경영활성화 강좌 성료 (0) | 2010.10.04 |
1회전국약사축구대회 'FC서울' 팀 우승 (0) | 2010.10.04 |
용인시약, 건강축제서 의약품올바로 알리기 (0) | 2010.10.03 |
저가구매+금융비용, 문전약국 허리휜다 (0) | 2010.10.02 |
병원약사회, 올해부터 회장선출 방식 변경 (0) | 2010.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