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정책

일련번호, 해법 모색에 분주.. 제약계 협조가 관건

jean pierre 2017. 2. 20. 09:51
반응형

일련번호, 해법 모색에 분주.. 제약계 협조가 관건

정부, 협의체 구성및 유관단체와 연일 간담회

정부가 일련번호 시행을 4개월여 앞두고,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에 대한 해결작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오는 27일 현재 가장 시급한 해결현안인 제약계의 바코드 시스템의 단일화와 규격화를 위해 제약계와 간담회를 개최하기로 한 것이다.

사실 일련번호는 지난 2009년부터 추진되어 온 사안이지만, 8년 가량 지난 현재 뒤늦게 정부가 문제 해결에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2009년 이후 사실 4-5년간은 정부는 물론, 관련 업계가 모두 뒷짐을 지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다가 2014년 이후 제약의 시행 시기가 임박해 지자, 다시 수면위로 부상해 현안이 되었다.

이 제도의 시행은 위조 약 방지를 통해 투명한 의약품 거래를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약사와 유통업계들의 참여가 필수적인 요소였으며, 정부는 이들 두 업계를 대상으로 시행 임박에 따른 각종 설명회를 개최하고 준비를 종용했다.

제약계와 유통업계가 유예기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시행 하였으며, 제약계는 이미 시행중이고, 유통업계는 오는 7월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발 뺀 지식경제부- 떠 안은 보건복지부

2009년 출범당시에는 지식경제부가 주도하여, 예산도 지원하면서 제도를 시작했다. 당시에는 RFID기반 계획이어서 이때 시범사업에 참여한 몇몇 업체는 정부 지원을 일정부분 받았다. 그러나 정작 필요한 제도 도입시기에는 일절 지원이 없다. 모든 부담은 업계의 몫이다. 특히 예산지원에 나섰던 지식경제부도 발을 뺀 상태이다.

2010년 복지부와 식약청이 제약+IT 융합 발전전략()을 정부에 보고하면서, 가시적인 실체를 드러냈다.

RFID의 개념조차 생소했던 제약업계는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도, 뭘 해야 할지도 감조차 잡히질 않은 상황이었다. 따라서 수년간 소수의 업체를 제외하고는 2D바코드로 유지되어 왔다.

설사 RFID를 인식하였다 하더라도, 공급과정 전반의 준비가 없이는 무용지물인 상황이었다.그렇게 시간이 흘러, 2015년 제약업계 시행 1년을 앞두고 정부가 이를 본격화하면서, 다시 수면위로 부상했다.

작년 상반기 제약사 일련번호 의무화가 본격 시행됐고 하반기에 미 시행업체에 대한 행정처분이 적용되었으며, 점차 참여율이 높아졌다. 그러나 방법상에서 출하하는 제약사로서는 문제가 없을지 모르나, 입고해야 하는 유통업계로서는 상당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바코드 표준화. 묶음단위 의무화는 핵심 요건

가장 대표적인 것이 묶음 처리 된 벌크제품의 바코드 규격화와 2D바코드와 RFID의 혼재이다.

유통업계는 제약사들이 어떤 방식으로 출하를 하던, 그것을 일일이 다 소화를 시켜야 한다. 유통업계가 그것을 소화는 시킬 수 있지만, 정작 핵심적인 문제는 유통업체가 그걸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력과 비용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가령 2D바코드로 출하된 제품이 95개가 입고되고, 그 사이사이에 RFID만 부착된 제품이 5개 입고되면 유통업체는 바코드를 바꿔가며, 그것을 이리저리 옮겨가며 처리해야 한다. 모두 2D바코드로 출시되면 한 라인에서 시간단축을 하며, 입고 및 출하가 가능하지만, 소수의 R FID 부착 제품으로 인해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유통업계는 이로 인해 RFID를 부착하는 업체들도 2D바코드를 병행 부착해 주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몇몇 업체는 요지부동이다.

또 다른 하나는 어그리게이션(, 묶음단위)의 비규격화다.

제약사들도 묶음단위로 출하 시, 가령 2000개를 출하할 경우, 낱개로 할 경우 2000번의 리딩작업이 필요하나, 100개 묶음일 경우 20번이면 끝나기 때문에 제약사들의 참여도는 높아지고 있다. 현재 알려진 바로는 70%대이다.

출하만하는 제약비해 입.출고 유통업계는 과부하 

하지만 유통업계는 상황이 다르다,

각 제약사가 각사의 편의에 맞춰 바코드 표기작업을 하기 때문에, 부착 위치도 제각각이고, 일부는 오류도 발생한다. 따라서 유통업계는 이를 의무화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의무화가 안 되면, 유통업계는 1000개들이 묶음이 입고될 경우 그걸 일일이 뜯어 모두 리딩작업을 거쳐야 한다. 그건 굳이 적용해보지 않아도 인력과 시간의 소요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유통업계는 그 비중이 미미하더라도 중간에 해당 제품이 걸리면, 시간이 지체될 수 밖에 없다. 굳이 제도를 시행해보지 않더라도 현장에서 나오는 목소리는 억지가 아니라 사실에 가깝다. 누구보다 현장 실태를 잘 아는 사람이 바로 유통업체 직원들이기 때문이다.

중장기적으로 RFID가 된다고 할지라도, 당장 코앞에 닥친 현실에 유통업계는 망연자실한 표정들이며, 수용할 수 없다는 강경한 목소리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여기에 또 하나 문제점은 낱개 제품의 바코드 표기도 업체마다 제각각인 것도 지적되고 있다. 가령, 바코드가 오류가 있거나, 비닐이 겉에 싸여서 빛 반사되는 등의 문제점이다.

일반적으로 대형마트에서 구입물건을 계산 시 한 제품이 바코드가 읽히지 않으면, 계산원이 일일이 넘버를 입력해야 하므로 시간이 지체된다. 하물며 대량(대형업체는 하루 1만개 이상)으로 물량을 출하해야 하는 유통업체로서는 중간 중간 이런 제품들이 걸리면, 상당한 시간 지체는 불가피하다. 이는 곧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

따라서 제약사들의 바코드가 오류가 없어야 하며, 리딩을 위해 부착을 제대로 하여야 한다. 이건 유통업계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다.

이밖에도 유통업체에 압박으로 다가오는 부분은 프로그램과 리더기의 성능 및 가격부담, 실시간 보고에 따른 어려움 등이 있다.

유통업계, 정부에 대책마련 강력 요구

유통업계는 협회차원의 TF팀을 구성해 시범사업 등이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물론, 2년 전부터 이러한 문제점을 꾸준히 정부 측에 지적하며, 시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그동안 정부는 이에 거의 묵묵부답이었다.

급기야 금년 초 유통업계에서 거부의 목소리가 나왔고, 필수적으로 충족해야 할 조건에 대해서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일각에서는 행정처분을 받더라도 이런 상태에서는 시행이 어렵다는게 공통된 목소리다.

유통협회 차원에서도 다양한 목소리를 청취한 결과, 어그리게이션 의무화. 2D-RFID 단일화를 조건으로 사실상 거부를 결정했다. 이 제도가 과연 합리적이고 문제가 없는가를 논하기 위해 내달중 공청회도 계획하고 있다.

정부가 최근 부랴부랴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는 이유도 여기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27일 복지부와 정보센터가 RFID관련 제약사들과 간담회를 개최한다. 제약계의 협조를 독려하고 방법을 찾겠다는 움직임이다. 이런 움직임으로 해결이 될지는 미지수다. 결국 해법은 유통업계가 아닌 제약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유통업체도 손놓고 있어선 안된다. 정부는 어쨌든 7월 시행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따라서 제약계가 협조가 가능해지면, 손놓고 있다간 행정처분 등 피해를 입을수 있다, 따라서 남은 4개월간 시행을 위한 준비를 서둘러 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