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외자계제약

MSD 이센트레스(랄테그라빌) 금년중 FDA허가 신청

jean pierre 2016. 8. 2. 09:45
반응형

MSD 이센트레스(랄테그라빌) 금년중 FDA허가 신청

11회 제제,기존 12회 제제와 유사한 효능 보여

MSD는 기존에 치료 경험이 없는 HIV-1 감염 성인 환자에 대해 랄테그라빌 600mg으로 알려진 이센트레스(ISENTRESS®,성분명 랄테그라빌) 11회 제제(11600mg 2정 복용)를 평가한 제 3상 임상시험 ONCEMRK를 통해 해당 제제의 효능 및 안전성 데이터를 발표했다.

48주 차에 평가된 효능 및 안전성 데이터는 2016718일부터 22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개최된 제 21회 국제에이즈학회(AIDS 2016)에서 최신임상연구(late-breaking abstract)로 발표됐다.

해당 연구 결과, 엠트리사이타빈과 테노포비어 병용 시 랄테그라빌 1,200mg (11600mg 2정 복용) 요법은 12회 복용 요법으로 시판되고 있는 이센트레스 400mg과 비교해 48주 차에 HIV RNA 수치가 40 copies/mL 미만에 도달한 환자 비율 면에서 통계적 비열등성(11회 요법 88.9%, 472/531, 12회 요법 88.3%, 235/266)을 입증했으며, 치료반응 차이[신뢰구간 95%] 0.5 (-4.2, 5.2)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는 두 치료군에서 보고된 약물 관련 이상반응의 발현율과 투여 중단율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총괄한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의 후안 A 페르난데스 병원 감염내과장 페드로 칸 박사는 “HIV-1 감염 환자의 다양한 필요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부가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며, “랄테그라빌 11회 제제는 HIV-1 감염 환자들이 질환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투여 용법을 간소화시켜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유럽 의약품청(EMA)ONCEMRK 연구 48주 차 결과를 바탕으로 이센트레스 11회 제제 허가를 위한 자료를 검토하고 있으며, MSD는 금년 미국을 포함한 기타 국가에도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ONCEMRK의 일차 유효성 평가의 결과변수는 투여 48주 차에 HIV-1 RNA <40 copies/mL에 도달하는 환자의 비율이다.

연구 48주 차에 이센트레스® 1,200mg (11600mg 2정 복용) 11회 용법은 이센트레스 400mg 정제 12회 용법과 바이러스 억제에서 각각 88.9%(472/531)88.3%(235/266)를 나타내며 0.5(-4.2, 5.2)의 치료 반응 차이[신뢰구간 95%]로 유사한 비율을 달성했다 (두 용법 모두 엠트리사이타빈과 테노포비어 병용 투여).

또한, 두 가지 용법 중 하나를 투여한 환자의 50% 이상이 치료 4주 차에 HIV RNA< 40 copies/mL의 바이러스 억제에 도달했으며 11회 투여군에서 53.5%(284/531), 12회 투여군에서 51.9%(138/266)를 보였다. 치료반응 차이[신뢰구간 95%]1.3[-5.1, 7.7]이었다.

이와 같은 유사한 효능은 RNA 바이러스 베이스라인이 100,000copies/mL보다 높은 환자에서도 확인됐으며, 치료반응 차이[95% 신뢰구간]2.9 [-6.5, 14.1]로 나타났다 (11회 요법에서는 86.7%[124/143], 12회 요법에서는 83.8%[62/74]HIV RNA 40copies/mL 미만 도달).

보고된 약물 관련 임상적 이상반응은 두 가지 요법에서 유사한 비율로 발현됐으며, 치료반응 차이[95% 신뢰구간]-1.1 (-7.6, 5.1)로 나타났다 (각각 24.5%[n=130] vs. 25.6%[n=68]).

두 치료군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치료 중단율을 보였고(11회 제제 투여군 7.7%[n=41], 12회 제제 투여군에서 8.9%[n=24]), 치료 내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치료 관련 바이러스 변이는 11회 용법을 시행한 환자의 1% 미만(5/531)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투여 48주 차의 11회 요법에서의 CD4 세포 수 증가(232 cells/mm3)12회 요법에서의 증가 수준(234 cells/mm3)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