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바이오벤처,의료기기 4583

큐젠바이오텍, 의약품 원료 시장 진출

큐젠바이오텍, 의약품 원료 시장 진출 치마버섯 균사체서 항암면역치료제 및 비뇨기과 제품 첨단 발효기술을 이용하여 바이오 활성물질을 고순도로 대량 생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큐젠바이오텍(대표 이종대)이 의약품 원료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화장품 원료에 이어 개량신약 개발에 주력해 온 큐젠바이오텍은 치마버섯 균사체에서 유래한 베타글루칸의 항염증 및 면역 조절 효과를 극대화한 비뇨기과 적용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서울의 모 대학 비뇨기과 교수와 함께 관련 의약품의 연구 개발에 착수했다고 19일 밝혔다. 2006년 5월 창업한 이래 화장품원료(베타글루칸, 히알루론산, 감마PGA, 발효추출물 등)를 주력으로 생산한 큐젠바이오텍은 LG생활건강, 더페이스샵, 보령메디앙스, 코스맥스, 소망화장품 등에 고효능 기..

오리엔트바이오, 개인 맞춤형 항암연구 ‘인간화마우스’ 국제포럼

오리엔트바이오, 개인 맞춤형 항암연구 ‘인간화마우스’ 국제포럼 ‘Human, Cancer & Research를 위한 Humanized Mice/PDX MODEL’ 주제 오리엔트바이오(대표 장재진, 002630)는 오는 20일 수원시에 소재한 차세대융합과학기술원에서 ‘2017 The Bioforum’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포럼에서는 최근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항암면역 치료를 위한 인간화마우스에 관하여 ‘Human, Cancer & Research를 위한 Humanized Mice/PDX MODEL’이라는 주제로, Humanized Mice(이하 ‘인간화마우스’)를 활용한 PDX(Patient-Derived Xenograft) 모델에 대해서 소개한다. 인간화마우스는 면역력이 현저히 낮거나 완전히 제..

메디포스트, 차세대 고효율 줄기세포 배양기술 상용화 국내특허

메디포스트, 차세대 고효율 줄기세포 배양기술 상용화 국내특허 메디포스트(대표: 양윤선)는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고효율 줄기세포 배양 기술의 상용화에 관한 국내 특허를 취득했다고 9월 13일 공시했다. 이번 특허의 명칭은 ‘증식력 및 분화능이 개선된 간엽줄기세포를 포함하는 폐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다. 즉, 고효율 줄기세포를 원료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폐조직 및 폐혈관 재생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기술이다. 메디포스트는 최근 줄기세포의 기능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산 원가는 절감하면서 유효 기간을 늘릴 수 있는 고효율 줄기세포 기반 기술 확보에 주력해 왔다. 메디포스트는 이 차세대 줄기세포를 ‘스멉셀(SMUP-Cell)’이라고 명명하고 현재 GMP에서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있는데,..

노인 위한 첨단 헬스케어 기술 , ‘치매 테크 ’ 주목

노인 위한 첨단 헬스케어 기술 , ‘치매 테크 ’ 주목 치매 예방 ‘골든타임’ 경도인지장애, 진단 및 증상 개선 기술 열풍 최근 정부가 국정과제로 내건 치매 국가책임제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적극 나서면서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상 노화와 치매의 중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단계가 치매를 비교적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 효과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골든타임’으로 알려지면서 이 시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매년 정상노인의 1~2%가 치매로 진행되는 것에 비해,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10~15%가 치매로 진행되어 발병빈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최근 의학계를 비롯해 기업에서는 치매의 고 위험군으로 분류되는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증상..

티슈진, 미 메릴랜드주서 75만달러 기금지원

티슈진, 미 메릴랜드주서 75만달러 기금지원 ‘인보사’ 미국 3상 임상위한 기금 지원해 티슈진(TissueGene, Inc. 이범섭/이우석) 공동대표 이우석사장은 지난 8일 주한 미국대사 대리 마크 내퍼(Marc E. Knapper)의 초청으로 미국대사관저 하비브 하우스(Habib House)에서 진행한 메릴랜드주 상무부&국무부 주관 리셉션에 참석했다. 특히 리셉션에는 세계 최초의 골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 ‘인보사’를 개발한 티슈진(TissueGene, Inc.)이 美메릴랜드 주로부터 75만 달러의 기금을 지원 받았다. 이 기금은 메릴랜드줄기세포연구기금(MSCRF)으로부터 지원 받은 것으로 ‘인보사’ 미국 임상 3상에 쓰이게 될 예정이다. MSCRF는 2006년 메릴랜드 줄기 세포 연구 법에 의해 설립..

셀바스헬스케어, 아큐닉 BC380 글로벌 출시

셀바스헬스케어, 아큐닉 BC380 글로벌 출시 미국 임상시험결과를 반영한 지능형 체성분 분석기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 셀바스헬스케어(대표이사 유병탁, KOSDAQ208370)가 새로운 체성분 분석기 아큐닉 BC380 (ACCUNIQ BC380)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했다. 아큐닉 BC380은 셀바스헬스케어의 축적된 개발 노하우와 최신 IT기술, 시장 트렌드에 따른 소비자 조사 및 미국 임상시험결과를 반영한 차세대 지능형 체성분 분석기다. 미국 임상시험 IHT 센터에서 DEXA(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장비와의 높은 상관도를 통한 체성분 측정의 정확성이 한층 강화되었으며, 디자인, UI 화면, 결과지 등에도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기술을 적용했다. 업계 최초 원격지원 AS프로..

셀리버리, 국내 최초 美 MJFF 연구과제로 선정

셀리버리, 국내 최초 美 MJFF 연구과제로 선정 파킨스병 치료제 작용원리 규명 국내 신약개발 바이오벤처가 세계최대 비영리 파킨슨병 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신약 연구과제로 최종 선정됐다. 바이오벤처기업 셀리버리(대표 조대웅)는 국내최초 美 마이클 제이 폭스 재단(Michael J. Fox; 이하. MJFF )이 주관하는 연구과제 수행 기업으로 선정되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에 연구과제로 선정 된 ㈜셀리버리의 ‘iCP-Parkin’ 은 파킨슨병의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파킨단백질’ 을 세포 및 조직 투과성으로 만든 신약 후보물질로 현재 일동제약 (대표 윤웅섭)과 공동개발 중이다. ㈜셀리버리는 향후 연구기간(1년 6개월) 동안 개발중인 파킨슨병 치료제 ‘iCP-Parkin’ 의 약리 작용원리(MoA : Mod..

지멘스 '마그네톰 테라'업계 최초 임상용 승인 인증

지멘스 '마그네톰 테라'업계 최초 임상용 승인 인증 초고자장 MR장비..CE인증 획득 지멘스 헬스케어 한국법인(대표: 이명균, www.siemens.co.kr/healthcare)은 테슬라 초고자장MR 장비 마그네톰 테라의 CE 인증 획득으로, 업계 최초 영상의학분야 임상용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마그네톰 테라 CE 인증 획득은 이 장비가 영상의학 분야에서 안정성, 임상적 유익성 및 환경 보호 측면에서 모든 EU 요구사항에 충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으로 유럽 의료진들은 일상적인 임상 현장에서 신경 및 근골격계 검사에 마음 놓고 이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지멘스 헬시니어스의 MRI 담당 수석 부사장 겸 본부장인 크리스토프 진델(Christoph Zindel) 박사는 “오랜 세월 초고자장 ..

셀바스 AI, 대구파티마병원 ‘셀비 메디보이스' 공급

셀바스 AI, 대구파티마병원 ‘셀비 메디보이스' 공급 의료 업무 효율성 및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 인공지능 전문기업 셀바스 AI가 대구파티마병원과 인공지능 의료녹취 솔루션 ‘셀비 메디보이스(Selvy MediVoice)’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대구파티마병원 내 영상의학과 의료진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체결되었다. 셀바스 AI는 대구파티마병원 의사들의 발화 데이터 및 의학용어를 수집해 음성인식 엔진 고도화 작업으로 특화된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인공지능 학습 기반의 음성인식 엔진을 탑재한 셀비 메디보이스는 사용자의 발화 특성 및 분과별 주로 사용하는 의학용어에 대한 특화 학습을 통해 인식 성능을 최대화하고 있다. 특히, 한국어와 영어를 혼용할 수 밖에 없는 국내 의료..

길병원,의료진 아이디어 만든 의료기기 출시

길병원, 의료진 아이디어 만든 의료기기 출시 ‘노즈팡’ 기존 제품 단점 개선 의료진의 아이디어로 기존의 단점이 개선된 제품이 의료기기 업체를 통해 개발, 출시됐다. 가천대 길병원 의료기기융합센터가 (주)지메디텍과 (주)뉴옵틱스와 공동으로 개발한 스마트형 비강 세척기인 ‘노즈팡’ 제품 발표회를 가천홀에서 개최하고, 개발과정을 밝혔다. 이번 ‘노즈팡’은 임상의사들의 아이디어가 상품화로 연결된 이례적인 사례로 꼽힌다. 의료진의 아이디어가 실제 제품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무엇보다 의료진의 아이디어가 임상 현장에서 경험한 바에 따라 도출되지만, 의료기기 업체는 이 같은 아이디어가 성공할지에 대한 의구심을 갖게 된다. 막대한 개발 비용이 들지만, 성공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노즈팡..

의료기기산업협회,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업계 목소리 담아야

의료기기산업협회,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업계 목소리 담아야 업계와 소통 강화하고 의료기기산업 성장 방안 마련 필요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회장 황휘)는 지난 9일 정부가 발표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은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고,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등 ‘병원비 걱정 없는 든든한 나라’ 조성에 기여하는 정책으로 그 목적과 취지에 공감하며, 보건의료 발전에 노력하는 의료기기산업계의 목소리를 반영한 세부 실행계획 및 제도적 뒷받침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발표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은 의학적 비급여의 급여화 대상 약 3,800여개 중 치료재료가 약 3,000여 개를 차지하는 만큼 의료기기산업계의 향후 성장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부와 산업계의 적극적인..

바드코리아 신경인성 방광 환자 위한 ‘매직케어’ 콜센터 오픈

바드코리아 신경인성 방광 환자 위한 ‘매직케어’ 콜센터 오픈 일회용 자가도뇨 카테터 구입 및 보험 1:1 안내 서비스 글로벌 의료기기사 바드의 한국법인 바드코리아(www.crbard.co.kr 대표이사: 하마리)는 신경인성 방광 환자들을 위한 일회용 자가도뇨 카테터 ‘Magic3’ 출시를 앞두고 ‘매직케어(Magic Care)’ 콜센터를 오픈했다고 28일 밝혔다. 매직케어는 일회용 자가도뇨 카테터 구입 및 보험 환급 절차에 대한 도움을 주는 서비스로 환자가 병원에 방문해 요역동학검사(UDS)를 실시하고 처방전을 발급받으면 상담전화를 통해 그 이후 진행되는 구매 및 보험 급여 절차에 대해 바드코리아에서 도움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바드코리아의 자가도뇨 카테터 Magic3 제품을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인프라웨어 테크놀러지, 중국 유웰니스 시장 본격 진출

인프라웨어 테크놀러지, 중국 유웰니스 시장 본격 진출 중국 최대 유웰니스 기업 China CPT와 파트너십 체결 유웰니스 전문기업 인프라웨어 테크놀러지(www.infrawaretech.com, 대표이사 엄태철)가 중국 China CPT(북경캉비터체육과기주식유한회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온핏(OnFit) 서비스의 중국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중국 China CPT(북경캉비터체육과기주식유한회사)는 중국 최대 유웰니스(U-Wellness) 서비스 기업으로, 중국 국가대표팀, 지방대표팀 등 운동선수들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스포츠 기술을 개발, 서비스 중이다. 온핏(OnFit)은 개인별 체력측정 결과와 식습관 및 운동량 등 생활 패턴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건강관리 목표를 수립한 뒤 운동 ..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내년 코스닥 상장 추진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내년 코스닥 상장 추진 올 하반기 기술성 평가 도전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이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통한 코스닥 상장을 위해 올 하반기 내 기술성평가를 신청하며 본격적인 예비상장심사 단계에 본격 돌입한다.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은 바이오기술인 BT (biotechnology)와 정보기술인 IT (information technology)를 융합해 국내 원천 체외진단 기술을 개발한 벤처 기업이다. 기술성평가란 전문평가기관으로부터 기술평가를 받고, 평가결과 1개 기관으로부터 A등급을 받고 나머지 1개 기관으로부터 최소 BBB등급 이상을 받을 경우 기술력과 성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예비상장심사를 청구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제도이다. 바이오인프라 생명과학 관계자는 “올 하반기 기술성 평가를 신청하면 ..

세계 최초 3D 프린팅 치과용 흡수성 멤브레인 개발

세계 최초 3D 프린팅 치과용 흡수성 멤브레인 개발 부산대학교 허중보,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심진형 교수 연구팀 성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은 부산대학교 허중보 교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심진형 교수 연구팀이 ㈜티앤알바이오팹과 공동연구로 세계 최초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치과용 흡수성 멤브레인 개발에 성공하여 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해당제품은 2017년 2월 1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획득하였고, 곧 시장에 출시 예정이다. 본 성과는 기존의 흡수성 멤브레인의 단점은 보완하고 비흡수성 멤브레인의 장점은 취한 환자 맞춤형 치료기술이다. 멤브레인이란 염증이나 외상, 임플란트 시술 등 골이식이 필요한 치과질환에서 잇몸이 골형성이 되어야 할 부분으로 자라 들어오지 못하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

바이오벤처 비트로시스, 기업공개 추진

바이오벤처 비트로시스, 기업공개 추진 주관사에 키움증권..광동제약 지분 투자 생명공학 바이오 벤처기업 비트로시스(대표: 박철수)가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비트로시스는 8일 IPO(기업공개) 주관사에 키움증권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 키움증권은 최근 비트로시스 IPO를 위한 사전실사를 완료했다. 비트로시스는 한국거래소의 심사 승인 절차를 거쳐 빠르면 내년 하반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될 예정이다. 비트로시스는 지난 달 광동제약으로부터 지분(9.3%) 포함 3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이로써 광동제약은 비트로시스의 2대 주주가 되었다. 비트로시스는 향후 광동제약과 식품, 의약품 소재탐색 및 천연물 R&D를 공동 추진함으로써 신제품 개발을 통한 외연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비트로시스는 산삼배양근..

메디포스트, '카티스템' 월간판매량 200건 넘어

메디포스트, '카티스템' 월간판매량 200건 넘어 줄기세포 치료제..누적 판매량 6천건 메디포스트(대표: 양윤선)는 줄기세포 치료제 ‘카티스템(CARTISTEM)’의 월간 판매량이 사상 처음으로 200건(약병 기준)을 넘겼다고 8월 3일 밝혔다. ‘카티스템’은 지난 7월 한 달간 판매량 206건을 기록했으며, 누적 판매량도 6천 건을 넘어섰다. ‘카티스템’의 월 평균 판매량은 출시 첫해인 2012년 28건을 시작으로 △2013년 56건 △2014년 80건 △2015년 103건 △2016년 148건을 기록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178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메디포스트는 품목허가 이후 5년간 동아에스티에 위탁했던 ‘카티스템’의 영업 및 마케팅을 자체 시스템으로 전환한 첫 달에 이 같은 기록을 달성함으로써 하..

지멘스 헬시니어스, 엘리어자회사 에포칼 인수

지멘스 헬시니어스, 엘리어자회사 에포칼 인수 완벽한 혈액 가스 검사 포트폴리오 구축 디지털화 시대의 혁신을 선도하는 세계적 전기전자 기업, 지멘스 헬스케어 한국법인 (대표이사 이명균, www.heatlhcare.siemens.co.kr)은 지멘스 헬시니어스가 엘리어 (Alere Inc.)의 자회사인 에포칼(Epocal Inc.)사를 인수하는 최종 계약 체결에 돌입했다고 발표했다. 에포칼은 휴대형 무선 검사 솔루션인 epoc를 포함하여 POC혈액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여 의료기관에 공급하는 기업이다. 에포칼 인수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이번 계약은 애보트(Abbott)의 엘리어 인수 완료와 엘리어 인수 관련 독점 금지법 승인 및 기타 통상적 선결 조건에 적용된다. 의료 기관의 진료실, 병동, 응급실 및 검..

메디포스트, 분기매출 사상 최대

메디포스트, 분기매출 사상 최대 120억8천 만원..당기순익. 영업익 모두 흑자 메디포스트(대표: 양윤선)는 올해 2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고 7월 31일 잠정 공시했다. 메디포스트는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2분기 매출 120억 8천만 원, 영업이익 11억 4천만 원, 당기순이익 14억 3천만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기(96억 6천만 원) 대비 25.1%, 전년 동기(71억 5천만 원) 대비 69.0% 증가하며 2005년 상장 이래 최대치를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매출 상승에 힘입어 1년 반 만에 흑자로 돌아섰으며, 당기순이익은 전기(9억 7천만 원) 대비 47.6% 증가하고 전년 동기 대비 흑자로 전환했다. 메디포스트에 따르면, 주력 사..

한-러 보건의료협력단, 메디포스트 제대혈은행 방문

한-러 보건의료협력단, 메디포스트 제대혈은행 방문 러시아 현지 의사들로 구성된 한-러 보건의료협력 연수단 일행이 7월 26일 메디포스트(대표: 양윤선)의 경기도 판교 본사 제대혈은행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2017 한-러 보건의료협력 연수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됐다. 이날 약 20명의 러시아 연수단 일행은 메디포스트의 제대혈 가공 및 저장 시설과 줄기세포 전시관 등을 시찰하고 메디포스트 임직원들과 환담을 나눴다. 특히 이들은 제대혈 채취와 조혈모세포 분리, 영하 196도의 초저온 보관 기술, 제대혈 이식을 통한 질병 치료,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용한 의약품 개발 등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다. 메디포스트를 방문한 러시아 칼루가응급센터 소속의 의사 티모페이 쿠라첸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