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당뇨병성 망막증 원인 밝혀져 |
시아-1단백질, GAPDH을 진입시켜..치료에 전기 |
당뇨합병증으로 인한 실명 이유가 밝혀져 예방과 치료에 한걸음 다가서게 됐다. 미국 미시간주립대 생리학교수 수잰 모어 박사는 혈당이 올라가면 만들어지는 시아-1(siah-1) 단백질이 당뇨병성 망막증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모어 박사는 시아-1 단백질이 또 다른 단백질(GAPDH)을 망막을 둘러싸고 있는 뮐러세포(mueller cell)의 핵에 진입시킴으로서 뮐러세포가 GAPDH 단백질 축적으로 죽으면서 망막혈관이 손상돼 당뇨병성 망막증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
![]() |
혈당이 올라가면 뮐러세포 핵에 GAPDH 단백질이 쌓인다는 것은 앞서 연구에서 이미 밝혀졌지만 무엇이 GAPDH단백질을 뮐러세포에 밀어 넣는지가 의문이었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의문이 풀렸다고 말했다. 시아-1 단백질 수치를 줄이면 GAPDH 단백질이 뮐러세포 핵으로 들어가는 것이 중지돼 뮐러세포가 죽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GAPDH단백질은 몸 전체의 에너지 생산에 필요하기 때문에 이 단백질의 생산 자체를 조절하기는 어렵지만 시아-1 단백질은 혈당이 올라가야만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를 조절해도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모어 박사는 말했다. |
메디코파마뉴스 김종필기자 (jp1122@nate.com) |
기사 입력시간 : 2010-02-05 오전 8:32:45 |
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외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모 우울증, 아이 공격적 성향 강해 (0) | 2010.02.07 |
---|---|
빵효모, 암세포 사멸 효과있어 (0) | 2010.02.07 |
관상동맥질환도 혈액으로 진단 (0) | 2010.02.07 |
암 40% 금연.금주 통해 예방가능 (0) | 2010.02.05 |
인터넷 과다사용, 우울증과 밀접한 연관 (0) | 2010.02.04 |
기억력 향상위해 커피 브레이크 필요 (0) | 2010.02.01 |
흡연자, 실제보다 더 많은 흡연한다 (0) | 2010.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