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염증 촉진.억제판단 관여 단백질 발견 | ||||||
자가면역질환 새 치료법 개발 전기 | ||||||
| ||||||
신체 염증의 촉진과 억제를 판단하는 단백질이 발견됐다. 마스터스위치라 불리는 이 단백질은 면역세포로 하여금 염증을 촉진할 것인지 아니면 억제할 것인지를 결정하며 류머티스성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의 새 치료법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류머티스성관절염 치료제로는 면역체계가 염증반응을 자극하기 위해 만드는 화학물질인 종양괴사인자(TNF) 억제제가 사용되고 있지만 환자의 약 30%는 이 치료제가 듣지 않는다. | ||||||
|
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외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두통, 뇌 인지기능 손상에는 無 영향 (0) | 2011.01.21 |
---|---|
잦은음주. 과음은 심방세동 위험 높여 (0) | 2011.01.18 |
인공임신 성공률, 의료용 개그가 효과 (0) | 2011.01.18 |
흡연후 30분이면 DNA 파괴 밝혀져 (0) | 2011.01.17 |
과민성대장증후군 운동이 약 (0) | 2011.01.13 |
간접흡연아동, 성인때 고혈압 위험 높아 (0) | 2011.01.12 |
토마토, 혈관질환 억제 성분 함유 (0) | 201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