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의약품유통/▷의약품유통

언론계, 다국적제약사의 유통비용 횡포 문제 관심

jean pierre 2014. 8. 27. 07:00
반응형

언론계, 다국적제약사의 유통비용 횡포 문제 관심

 

손익분기점(8.8%) 이하 지급 불공정 행위 지적

 

 

다국적제약사들의 손익분기점 이하의 유통비용 제공과 관련, 지난 20일 개최된 다국적제약사 의약품 유통비용 이대로 좋은가를 주제로 한 토론회에 대해 주요 일간지들이 관심을 갖고 다국적 제약사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불공정 행위를 지적했다.

 

서울경제신문은 이와 관련 20일자 신문에서 다국적 제약사의 횡포로 의약품유통업계가 고사위기에 처했다고 강조하고 이는 적정 유통비용인 8.8%에 못 미치는 6~7%의 유통비용을 지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신문은 황치엽 한국의약품유통협회장의 말을 빌어 이로 인해 국내 의약품 유통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고 밝히고 다국적 제약사들이 의약품공급 과정에서 현금거래만을 고집하는 횡포를 중단하고 카드 결제를 수용하고 금융비용을 인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국적제약사 의약품 유통 안 할수도"
황치엽 의약품유통협회장
낮은 마진 탓에 팔수록 손해
현금거래만 고집하는 횡포도
"국내 의약품 유통업체들이 다국적제약사의 낮은 유통마진 정책에 의해 위기에 몰려 있습니다. 이러다가 의약품을 배송하기 어려운 상태가 온다면 이에 따른 국민 불편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국내 의약품 유통업체들이 다국적제약사의 횡포로 인해 업계가 어려움에 처하고 있다며 향후 다국적제약사의 의약품 유통이 원활치 않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황치엽(사진) 한국의약품유통협회 회장은 20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다국적제약사 의약품 유통비용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에서 "의약품정책연구소에서 제시한 적정한 도매 유통비용(도매마진율)은 8.8%인데 다국적사들은 6~7%의 낮은 유통마진을 고수하고 있다"며 "팔수록 손해를 보는 유통구조가 장기화되면 누가 제품을 취급할 수 있겠느냐"고 토로했다.
도매마진율은 의약품 유통시 도매업체에 제공하는 수수료 비율을 말하는 것이다. 가령 보험약가가 100원짜리 약을 유통시킬 경우 도매업체에 제공해야 할 적정 비용은 8.8원이라는 것이다.

황 회장은 국내 제약사들이 유통업체들의 마진을 10%까지 인정하고 카드결제까지 수용하는 데 비해 다국적제약사들은 현금거래만을 고집하는 등 횡포를 부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따라 의약품 유통업체들은 지금과 같은 낮은 유통마진이 계속될 경우 다국적제약사들의 의약품 공급중단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날 토론패널로 나선 조선혜 한국의약품유통협회 수석부회장은 "유통업체들의 인건비와 물류비용 등 일반관리비가 5% 수준인데 다국적제약사들이 제시하고 있는 6~7%의 유통마진으로는 팔면 팔수록 손해 보는 상황"이라며 "더 이상 원활한 의약품 공급에 전념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고 말했다. 조 부회장은 "다국적제약사는 정부가 인정한 카드마일리지카드수수료 등 3.8%의 금융비용 등을 인정하고 카드결제를 수용하는 등 상생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대한약사회는 이 같은 유통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약사회와 제약협회·다국적의약산업협회·의약품유통협회가 함께 참여하는 상설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영자신문인 코리아 타임즈도 826일자 신문에서 “2011년 이후 60여개의 의약품유통업체가 파산했으며, 이는 다국적 제약사의 손익분기점 이하의 유통비용을 지급하는 불공정 영업행위 영향이 크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즉각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많은 업체들이 파산위기에 처할 것이며, 손익분기점 이하의 유통비용을 계속 지급한다면 국내 업계를 심각하게 와해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다국적 제약사들이 금융비용과 카드결제를 해야 하는 국내 관련법을 수용하면 국내 제약산업은 훨씬 강화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다국적 제약사에도 이익이 될 것임을 밝혔다.

 

아울러 이 신문은 쥴릭의 문제도 거론했다.

 

다국적사 15개 업체가 쥴릭을 통해서만 의약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의존도가 더 커지면 약사법 위반이 될 수도 있다고 밝히고, ‘국회와 복지부도 원활한 의약품 유통을 위해 이러한 불공정 행위의 개선을 위해 개입할 의사를 보였다고 기사화했다.

 

이밖에도 이번 토론회와 관련 다수의 일간지 및 의약전문 매체와 인터넷 매체들이 관심을 보이며 다국적 제약사들의 의약품 유통비용 관련 불공정 행위를 다뤘다.

 

 

 Foreign drugmakers under fire
60 distributors go under since 2011; more bankruptcies expected

By Park Si-soo

Hwang Chi-yup, KPDA president
Cho Sun-hye, president of Geo-Young
Kim Dong-goo, chairman of Baekje pharm
Foreign pharmaceutical companies have come under fire for what Korean distributors describe as unfair business practices.

Nearly 60 drug distributors have gone bankrupt since 2011 because foreign drug manufacturers are not passing on their fair share of the profits, according to the Korea Pharmaceutical Distribution Association (KPDA).

The KPDA represents 2,121 distributors, many of which face bankruptcy unless the government takes immediate action, the association said.

Foreign drugmakers produce six out of 10 prescription drugs in Korea, meaning they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bottom lines of local distributors.

"Unlike Korean pharmaceutical companies, which guarantee at least a 10 percent profit margin for distributors, foreign drugmakers set it at 7 percent or lower, levels at which distributors cannot turn a profit at all," KPDA President Hwang Chi-yup said during a forum at the Korea Press Center in downtown Seoul on Wednesday.

"A bigger problem is that at that rate, they (foreign companies) even force distributors to cover costs arising from credit card transactions," he added.

In the absence of government intervention, Hwang said, the practice could seriously disrupt the country's drug industry.

Prof. Hwang In-kyung of Gachon University denounced the practice of setting such low profit margins, saying he had done research showing distributors could not turn a profit with margins lower than 8.8 percent.

"The biggest problem, I think, is that foreign companies don't cover the basic costs of distributing products, such as credit card transaction fees," Hwang said.

Cho Sun-hye, president of Geo-Young, a distribution agency, echoed this view, calling on foreign pharmaceutical companies to cover related costs.

"We would feel much better if they (foreign companies) covered them," she said. "Doing so would strengthen the drug industry."

Rep. Nam Yun In-soon, of the main opposition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said she would pay keen attention to the issue.

"It's impossible to provide good health care services without a fair and transparent drug distribution system," the lawmaker said. "Regrettably, however, there seem to be some problems with our system. I will try har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address the problem."

Critics say another culprit is Zuellig Pharma Korea, a foreign-invested distributor specializing in products from foreign pharmaceutical companies.

Zuellig has seen a steady increase in clients, with 15 companies using its services exclusively: BMS Pharmaceutical Korea, Boehringer Ingelheim Korea, Eli Lilly and Company Korea, Lundbeck Korea, Merck Korea, MSD Korea, Novartis Korea, Novo Nordisk Pharma Korea, Nycomed Korea, Pfizer Korea, Sanofi-Aventis Korea, Handok, Johnson & Johnson Medical Korea, Pharma Link Korea and Mentholatum Korea.

The KPDA suspects that foreign drug manufacturers' increasing reliance on Zuellig may constitute a violation of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which prohibits actions that violate market principles.

Lee Go-eun, a health ministry official, did not clarify whether the drugmakers' practice violated the law. But the official said the ministry felt it was necessary to intervene to normalize the drug distribution industry.

 

 

 

 

 

 

다국적 제약사에 비난 집중

2011년 이후 60개의 유통업체가 파산

더 많은 유통업체 파산 우려

 

 

다국적제약사들이 집중 비난을 받고 있다. 한국의약품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는 다국적제약사들이 불공정 영업행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약품유통협회(KPDA)에 의하면 외국의 제약사들이 정상적인 유통비용을 지급하지 않아 2011년 이후 거의 60개의 유통업체가 파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2,121의 유통 업체를 대변하는 한국의약품유통협회는 이에따라 정부가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이들 중 많은 수가 파산 상태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국 제약업체들은 한국의 조제약 중 60%를 생산하고 있는데, 이것은 의약품유통업체들의 순이익(최종 순익)을 결정하는 다국적사들이 상당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약품유통협회 황치엽 회장은 "의약품유통업체에 최소 10%의 수익 마진을 보장하는 국내의 제약회사들과는 달리, 다국적제약사는 7% 혹은 그 이하의 수준으로 마진을 설정하는데, 이 수준으로는 유통업체들이 전혀 이익을 낼 수 없다"고 관련 토론회에서 말했다.

 

황치엽 회장은 "더 큰 문제는, 이 마진율에서도 그들은(외국회사들) 유통업체들에게 압력을 가해 카드 거래 시 발생하는 수수료 비용 까지도 부담하도록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 회장은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의 개입이 없다면, 우리나라의 제약 업계를 심각하게 와해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천 대학교의 황인경 교수는 낮은 이익 마진의 설정 행위를 맹렬히 비난하며, 자신의 연구에 의하면 8.8% 이하의 마진율로는 유통업체들이 수익을 낼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 황인경 교수는 "가장 큰 문제는 외국 제약사들이 신용카드 수수료와 같은 제품 유통에 소요되는 기본비용을 부담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오영 조선혜 회장은 황 교수의 지적에 동의를 표하며, 외국의 제약 회사들이 관련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선혜 회장은 "그들이 그 비용들을 부담해주면 의약품 유통업계는 경영은 훨씬 나아질 것"이라며 그렇게 하는 것이 제약업계를 강화시키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국회의원인 남윤인순 의원은 이 문제에 날카로운 주의를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남윤인순 의원은 공정하고 투명한 의약품 유통 시스템이 없이 좋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그러나 유감스럽게도 현재 이 시스템에는 문제가 있는 것 같아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축사를 전했다.

 

의약품유통업체들에 따르면, 외국 제약회사들의 제품을 전문적으로 취급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의 유통업체인 쥴릭 파마 코리아는 의약품유통업계의 또 다른 악화요인이다.

 

쥴릭 고객의 수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데, 다국적사 15개는 쥴릭 만을 의약품 유통에 이용하고 있다.

<BMS 제약 코리아, 베링거 잉겔하임 코리아, 엘리 릴리 앤 컴퍼니 코리아, 룬트벡 코리아, 머크 코리아, MSD 코리아, 노바티스 코리아, 노보 노르디스크 파머 코리아, 나이컴드 코리아, 화이자 코리아,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 한독, 존슨 앤 존슨 메디컬 코리아, 파머링크 코리아, 맨소래담 코리아>.

 

또한 다국적제약사들이 점점 더 쥴릭에 의존하는 것은 의약품 시장의 규칙을 깨 약사법의 위반이 될 수 있다고 의약품유통협회는 판단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약무정책과 이고은 사무관은 이러한 다국적사의 행위가 법 위반인지 명확히 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 사무관은 의약품 유통업계를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복지부에서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느낀다고 전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