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폐증, 애니메이션 반응분석으로 조기진단 |
2살아기 대상 실험, ASD 유무로 판별 |
애니메이션에 대한 반응 분석으로 자폐증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과학전문 저널 네이처에 실린 예일아동연구센터(YCSC)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자폐스펙트럼장애(ASD)를 가진 유아들은 상하 좌우가 뒤바뀐 애니메이션에 대해 정상적인 유아들과 다른 반응을 보였다. 이 실험에는 ASD를 가진 유아 21명과 정상적인 유아 39명, 발달 장애가 있으나 자폐증은 없는 유아 16명이 참가했으며 이들의 나이는 모두 2살이었다. |
![]() |
연구진은 `까꿍'하며 갑자기 모습을 드러내거나 손뼉을 치는 등 유아들을 어르는 놀이 5가지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 영상물을 차례대로 이들에게 보여줬다. 연구진은 스크린을 양분, 한 쪽에는 상하좌우가 제대로 된 놀이 애니메이션이 나오게 하고 다른 한 쪽에는 상하좌우가 뒤집힌 애니메이션이 나오게 했다. 실험 결과 정상적인 유아들과 발달 장애는 있어도 ASD가 없는 유아들은 상하좌우가 제대로 된 애니메이션 쪽에 분명한 선호를 보였으나 ASD가 있는 유아들은 어느 한 쪽에 대한 별다른 선호 없이 스크린 양면을 이리저리 살피기만 했다. 그러나 소리가 나는 손뼉치기 놀이의 경우 상하좌우가 제대로 된 애니메이션에서 손뼉치는 동작과 소리가 일치되도록 하자 ASD를 가진 어린이들도 66%의 비율로 동작과 소리가 일치되는 애니메이션을 택해 일정한 선호를 나타냈다. YCSC의 애미 클린 박사는 "이번 실험 결과는 자폐증의 유전적 성향이 유아기의 비정형적 경험으로 두뇌 개발 저하를 불러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의 토머스 인젤은 "이번 연구는 자폐증의 조기 진단 뿐 아니라 시각적 주의 교정을 통한 자폐증 치료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데일리엠디 김종필기자 (jp1122@nate.com) |
기사 입력시간 : 2009-03-30 오후 11:05:58 |
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외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중증가 원인, 고형음식아닌 가당음료 (0) | 2009.04.06 |
---|---|
오메가-3지방산, 종양 축소 효과 (0) | 2009.04.06 |
임신3기 여성 청력기능 크게 떨어져 (0) | 2009.04.01 |
차 뜨겁게 마시면 식도암 위험 높아져 (0) | 2009.03.30 |
소변분석통해 올바른 영양섭취 판단가능 (0) | 2009.03.30 |
35세이하 유방암 환자 재발 높다 (0) | 2009.03.27 |
햇빛노출 혈전 위험 낮춰 (0) | 2009.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