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의약품유통/▷외신(의약품, 외국제약업계)

특정계열 혈압약, 항생제 병용 혈압 급락 위험 커

jean pierre 2011. 1. 18. 11:32
반응형
특정계열 혈압약, 항생제 병용 혈압 급락 위험 커
저혈압. 쇼크 위험 각각 6배, 4배 높아
2011년 01월 18일 (화) 11:28:54 김종필 기자 jp11222@naver.com

칼슘통로차단제 계열의 혈압약과 마크로리드 계열의 항생제를 병용하면 혈압이 급격하게 하락해 쇼크수준까지 다다를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통로차단제 계열 혈압약과 마크로리드 계열 항생제의 상호작용 위험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인지가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캐나다 서니브루크 연구소 데이비드 유어링크 박사는 이와 관련 두 종류의 약을 병용할 경우 저혈압-쇼크 위험이 각각 6배와 4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

유어링크 박사는 1994-2009년 칼슘통로차단제 계열의 혈압약을 복용하는 66세 이상 노인과 이중 저혈압 또는 쇼크로 입원한 7천100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그러나 같은 마크로리드 계열의 항생제인 아지스로마이신은 이러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

따라서 칼슘통로차단제 계열의 혈압약을 복용하는 사람이 마크로리드 계열의 항생제가 필요할 때는 아지스로마이신을 택하면 안전할 것이라고 유어링크 박사는 밝혔다.

또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억제제나 베타차단제 등 다른 계열의 혈압약은 마크로리드 계열의 항생제와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조사대상을 노인으로만 설정한 것은 특히 노인들이 이 두 약의 상호작용에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유어링크 박사는 밝혔다.

두 약을 함께 복용한 노인들은 저혈압으로 현기증을 일으켜 쓰러지거나 신체장기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쇼크를 일으키기 쉬우나 젊은층은 체력이 그정도를 감내할 가능성이 높다는게 연구진 설명이다.

김종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메디코파마뉴스(http://www.emedico.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