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 2,989품목
공급 중단 시 중단일의 60일 전까지 식약처에 보고해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2020년도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을 지난 25일 심사평가원 누리집(http://www.hira.or.kr)과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 누리집(https://biz.kpis.or.kr)에 공고했다.
2020년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은 총 2,989품목(287개 제약사)이며, 이 중 ‘동일성분 의약품이 2개 이하인 의약품’이 2,479품목(265개 제약사)으로 가장 많았다.
심사평가원은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 8가지 유형** 중 퇴장방지의약품과 희귀의약품을 제외한 6가지 유형을 전년도 생산·수입실적과 건강보험 청구량, 의약단체, 업계 의견 등을 반영해 매년 대상의약품을 선정하며, 최종 보건복지부장관 승인을 받아 공고한다.
공고된 생산·수입·공급 중단 보고대상 의약품은 중단일의 60일 전까지 그 사유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보고265개 제약사해야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제조·수입사는 업무정지 행정처분을 받게 된다.
김철수 의약품관리종합정보센터장은 “해당 의약품 공고로 의약품의 공급부족을 사전에 예방하고 원활한 수급 관리를 유도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며, “동 제도가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해당 의약품을 생산·수입하는 제약사 및 관련 단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바란다”고 전했다.
구 분 | 내 용 | 품목 수 | 제약사 수 |
합 계 (각 호 중 중복된 품목 및 제약사는 1개로 산정) | 2,989 | 287 | |
제3호 | ’19년도 생산․수입 실적이 있는 의약품 중 동일 성분을 가진 품목이 2개 이하인 의약품 다만, ’19년도 생산·수입실적이 없더라도 ’19년도 공고 목록에 포함된 경우에는 ’18년도 생산·수입실적 기준 | 2,479 | 265 |
제4호 | 동일성분을 가진 품목군 중 시장점유율(연간 생산·수입실적 기준)이 50%이상이면서 해당 품목을 생산·수입하는 업체가 3개 이하인 의약품 | 2,157 | 249 |
제5호 | ’19년도 건강보험 청구량 상위 100대 성분을 가진 의약품 중 해당 품목을 생산․수입하는 업체가 3개 이하인 의약품 | 54 | 28 |
제6호 | WHO에서 추천하는 필수의약품 목록에 등재된 성분의 약제로 이를 생산 또는 수입하는 업체가 3개 이하인 의약품 | 661 | 132 |
제7호 | 사람이나 동물의 체액 등을 원료로 하는 생물학적제제로 원료수급이 불안정한 의약품 | 181 | 33 |
제8호 | 중증 질환의 치료에 필요한 의약품 중 대체의약품이 없는 의약품으로서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대한약사회 등 의약단체가 추천한 의약품 중 건강보험심사평가원장이 인정한 의약품 | 26 | 14 |
기타 |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보고대상 의약품으로 포함하여 줄 것을 요청한 의약품 | 137 | 61 |
'◆의약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사평가원, ‘노사공동 인권주간’ 행사 개최 (0) | 2020.12.01 |
---|---|
심사평가원, 코로나19 지역 공공의료원 지원에 앞장서다 (0) | 2020.12.01 |
심평원, 2020년 10월 진료심사평가위원회 심의사례 공개 (0) | 2020.11.30 |
심평원, CSR필름페스티벌 사회가치 부문 복지부 장관상 (0) | 2020.11.29 |
백신·혈장분획제제 품질관리 정보 공유 워크샵 (0) | 2020.11.26 |
심평원, 보건복지분야 최초 개인정보보호 국제표준(ISO27701) 인증 (0) | 2020.11.26 |
식약처,11월 27일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 정책포럼 (0) | 2020.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