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바이오벤처,의료기기 4650

바이오벤처협, 평가위원 모집

바이오벤처협, 평가위원 모집 바이오기술 유효성및 독성분석 사업평가 바이오벤처협회는 바이오기술 유효성 평가 및 독성분석사업 평가위원을 모집한다. 협회는 지식경제부가 지원하는 국내 바이오벤처 보유 기술의 산업화 지원정책의 일환으로 국내 벤처기업 및 연구기관이 개발 중인 유망 바이오기술을 대상으로 지원사업을 수행하게 됨에따라 바이오산업 현장 전문, 전임상/임상개발, 특허 및 해외기술이전 분야에 대한 전문 평가 위원을 초빙한다고 밝혔다. 평가위원 추천은 2008년 6월 20일(금)까지 팩스(02-552-4840) 또는 이메일(mslee@kobioven.or.kr)로 협회 이명선, 정현주 대리 앞으로 접수하면된다. 필요한 서류는 바이오기술 유효성 평가 및 독성분석 사업소개 1부,전문가 평가위원구성 1부,전문가 평..

idb바이오r&D, 印尼 바이오업체와 MOU

idb바이오r&D, 印尼 바이오업체와 MOU 바이오연료 사업개발 상호 협력키로 ㈜ IDB BIO R&D와 Ginga Petroleum은 최근 인도네시아의 바이오연료 사업개발을 위한 MOU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인도네시아의 ㈜ IDB BIO R&D는 한국의 기업인이 인도네시아에 설립한 회사로서, 바이오디(자트로파) 및 바이오에탄올(카사바) 농작물 플랜테이션 전문회사이다. 특히 바이오에탄올 생산의 원료로 사용되는 카사바에 대한 전문 기술을 가진 회사이다. 일반 카사바에 의한 경우는 ha당 20~50톤가량 되는 것인 반면에 ㈜ IDB BIO R&D가 보유한 카사바 개량품종과 재배기술에 의하면 ha당 100~200톤의 수확량을 얻을 수 있다. IDB BIO R&D의 백창훈 사장은 “우리는 바이오 연료 생산에 ..

비타푸드2008 한국업체 13사 참가

비타푸드2008 한국업체 13사 참가 스위스서 40개국 450개사 참여 유럽최대의 건강.기능식품전시회인 ‘비타푸드 2008’가 5월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스위스 제네바 Palexpo에서 개최됐다. 세계 40여 개국 450개 업체가 참가했으며, 한국은 13개 업체가 참가하여 수출무대를 유럽지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열띤 상담을 벌였다. 참가국은 한국을 비롯 중국, 프랑스, 미국, 아일랜드, 네덜란드, 뉴질랜드, 스코틀랜드가 참가했고, 벨기에, 핀란드 국가관이 새롭게 선보였다. 특히 동유럽에서 헝가리가 처음으로 국가관을 운영, 10여개 업체가 참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불가리아, 체코 등 동유럽 국가에서 많은 참관객이 이번 전시회를 찾아 동유럽의 경제력 상승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짐..

바이오업체 취업희망자 연수교육 실시

바이오업체 취업희망자 연수교육 실시 인턴쉽 4기 전액무료..수료후 관련업체 취업 바이오산업체에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 미취업자들을 대상으로하는 연수교육이 실시된다. 한국바이오벤처협회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산업기술재단의 지원을 받아 바이오 분야를 전공한 미취업자들에게 취업을 위한 직무교육과 전문기관 및 Bio산업체에서 현장 체험연수를 제공하는 '이공계 전문기술연수사업'으로 “Bio 인턴쉽 4기 과정”을 개설하여 연수생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50명의 연수생을 모집하여 지원하는 이번 사업의 대상자는 바이오 전공 대졸자 및 대학원 졸업 미취업자 (2008년 8월 졸업예정자 포함)로서, 공고일 현재 만 32세 이하인 자 (1976년 5월 1일이후 출생자에 한함)가 해당된다. 과정 중 전문연수기간 3개월 간 월30만원,..

일신랩, 산업용 동결건조기 시장 진출

일신랩, 산업용 동결건조기 시장 진출 GMP설비규정 적합...바이오써포트와 제휴 바이오벤처 기업인 일신랩은 강화된 약사법에 따른 GMP 설비규정에 적합한 산업용 동결건조기 생산과 Validation 에 대하여 업무제휴를 맺고 공동으로 시장진출을 추진키로 협약을 체결했다. 최근 강화된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품 생산과 관련한 모든 공정을 원료, 자재, 기계 및 설비, 시험방법 및 작업원등 처음부터 끝까지 100% 문제가 없다는 것을 검증하는 의약품 Validation 기준을 이미 법제화하여 시행하고 있는 미국, 유럽 및 일본등과 같은 세계수준으로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따라서 국내 모든 제약사는 이 규정에 따른 생산설비의 보완이 필수적 이다. (주)일신랩은 이와 같은 국내 제약산업의 변화에 발맞추어 제약용 동..

효과적 바이오신약개발 방안등 공유

효과적 바이오신약개발 방안등 공유 바이오벤처협회, 정총및 발전세미나 개최 바이오벤처협회는 24일 오후 코엑스에서 2008정기총회및 바이오신약 사업개발전략세미나를 개최했다. 회원사등 약 90여명이 참석한 세미나에서는 첫 번째 주제발표를 사우스위스턴메디컬대학의 안철우 박사가 “최근의 의약품 발굴 및 개발”에 대하여 했다. 안박사는 "약품의 개발비용의 증가에 비해서 의약품의 발굴 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맞춤의학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밝혔다.이어 "유전체를 이용한 신약개발을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진단과 치료를 결합한 “Theragnostics”가 신약개발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체 인종을 대상으로는 FDA의 허가를 받지 못한 약이 유전체에 대한 분석..

바이오벤처협회, 24일 정기총회및 세미나 개최

한국바이오벤처협회가 오는 24일 오후 4시부터 코엑스 컴퍼런스센터 3층 310호실에서 2008년 정기총회및 부대행사를 갖는다. 이날 오후 3시부터 등록접수에 들어가 오후 4시에 바이오신약 개발 사업화 전략을 주제로 하는 세미나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총회에 들어간다. 세미나는 ▲Recent Development in Drug Discovery and Development : From Bench to Bedside, 안철우 교수 (South Western Medical School)▲신약개발사업화 전략 “FUZEON'사례 The First Membrane Fusion Inhibitor, 카이노스메드 강명철 대표으로 이어지며 패널토의에는 손 민 (한얼국제특허사무소 대표), 신정섭 (산은캐피탈 차장), 정명진 (..

바이오벤처협회-폴리텍바이오大와 MOU체결

바이오벤처협회-폴리텍바이오대와 협력 바이오관련 인력양성 협력 강화 한국바이오벤처협회(회장 서정선)는 최근 한국폴리텍 바이오대학(학장 김제영)과 공동연구 개발 및 우수한 전문기술 인력양성을 위하여 상호 지원 및 협력을 위한 양해 각서를 체결하였다. 협회는 지난해 한국폴리텍 바이오대학과 함께 이공계 미취업자 현장연수사업(바이오 인턴쉽사업)을 수행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바이오관련 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신입생 입학식과 함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하여 한국폴리텍 바이오대학은 국내 바이오벤처기업의 현장 애로사항을 교과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산업체의 기술적인 애로 사항에 대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산학연 공동 연구 개발과제를 도출하여 인력 양성..

메디슨, '아큐빅스V10' 국내런칭 시작

메디슨, KIMES2008참가..신제품 전시 '아큐빅스 V10'등 국내런치 본격화 초음파진단기기 전문기업 메디슨(대표 최재범 www.medison.co.kr)은 13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시장에서 열리는 KIMES 2008에 참가한다. 메디슨은 이번 전시회에 신제품 ACCUVIX V10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을 전시하며, 초음파 임상 및 개원전략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국내 고객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메디슨은 이번 전시회에서 진료영역별로 제품을 전시하여 방문객이 쉽고 편리하게 관람 할 수 있도록 부스 공간을 기획하고 지난 해 메디카에서 선보인 신제품 ACCUVIX V10의 전시공간을 별도로 마련하는 등 이 제품의 본격적인 국내 런칭을 진행한다. ACCUVIX V10은..

바이오벤처협회, 세포유전자치료제 포럼가져

바이오벤처협, 세포유전자치료제 포럼가져 RMS수출 사례등 발표 한국바이오벤처협회는 26일 역삼동 리더스클럽에서 식약청 생물의약품본부와 함께 제6회 세포유전자치료제 포럼을 개최하였다. 첫 번째발표는 “RMS(Regenerative medical System) 수출사례”를 세원셀론텍(주)의 서동삼 센터장이 RMS(Regenerative medical System) 의 간단한 소개 및 세계시장 진출 현황 등을 중심으로 발표하였다. 두 번째 발표는 “의약품 제조용 유전자변형생물체(LMO : Living Modified Organism) 관리 방안”에 관하여 식약청 유전자치료제팀 안광수 연구관이 발표하였다. 세 번째발표는 “Stem cell Research in UK"에 대하여 영국의 뉴캐슬대 Colin McGu..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