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의약품유통/▷약사, 약사회,약대,약국,학회

일반약 수퍼판매, 약사 본분 다하는게 최선

jean pierre 2011. 1. 21. 13:35
반응형
일반약 수퍼판매, 약사 본분 다하는게 최선
허용 VS 반대 양측 상호 허점 잡기에 혈안
2011년 01월 21일 (금) 13:26:45 김종필 기자 jp11222@naver.com
 ◆논리 보다 중요한 건 보여주는 것

의약품 수퍼 판매 논란과 관련, 약사회와 시민단체 및 의료계간의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이 상태라면 한마디로 수퍼 판매가 허용되기 전에는 끝을 알 수 없는 전쟁이다. 이는 약사회는 시민단체, 의료계등 반대하는 측도 요구하는 측도 모두 인정하는 분위기다.

이런 움직임은 양측이 애초에 상호 자신들의 논리로 상대 의견을 인정할 수 없는 철길 같은 평행선을 긋고 출발했기 때문이다.

   
◆수퍼판매 논란의 가장 좋은 대응은 약사의 본분을 다하는 것일지 모른다( 사진은 특정 기사와 무관함)
이로인해 수퍼 판매와 관련 찬성과 반대 양측은 상호간의 주장에 허점을 찌르기에 여념이 없다. 허점을 찔러서 자신들의 주장을 합리화 시킬 빌미를 찾자는 의도이다.  특히 수퍼판매 안되고 밑질게 없는 시민단체나 의료계는 더욱 공세적이다. 약사회는 잘해야 본전이기에 울화통이 치민다.

약사 아닌 어느 업종이라도 그럴 것이다. SSM처럼 같은 업종에서도 그런일이 벌어지는데 하물며 내가 하던 것을 뺐어 간다면 비슷한 감정일  것이다.

수퍼판매 논란의 외부로 드러난 주장은 약사회는 국민건강을 위해 의약품을 아무에게나 팔게 할 수 없다는 것이고, 시민단체나 의사단체는 국민의 편의성을 위해 상비약 수준의 의약품을 풀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양측 모두 ‘국민을 위함’을 표방하고 있다.

그러나 그런 주장들이 진정성을 지닌지는 지켜볼 일이다.

약사회의 경우 국민 건강을 위한 것 이라면 수퍼판매의 불허 정당성을 주장하기 앞서 철저한 복약지도 등을 통해 국민에게 약의 위험성 등을 알리고 안전하게 복용하고 주의를 해서 복용해야 함을 주지시켜야 함에도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는 당연히 공격의 빌미다.

각종 토론회에 참석하는 약사들은 복약지도를 철저히 하고 있다고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80-90%는 아닌건 사실이다.

의사회도 마찬가지다.

전문 약의 일반 약 전환에 대해서는 손사레를 치면서 왜 일반약에 대해서는 수퍼판매를 요구하는지, 아울러 왜 수퍼판매 허용 주장의 중심에 의사들이 나서는지 의아하다.

국민들로서는 “어라! 의사나 약사나 둘다 국민 건강을 지키는 직업이고 의사라면 당연히 건강과 관련한 의료행위나 투약행위를 일반인이 하는 걸 막아야 하는데 어찌 선두에 서서 허용을 주장하고 나설까”하고 의아해 하는 국민들이 많다.

당연히 속에 다른 품은 것이 있음을 논하는 일반인이 많고 이는 수퍼판매 찬반과는 다른 문제다.

 시민단체들도 마찬가지다.

의약품 안전성의 중요성을 인정 하면서도 국민 편의를 위해 허용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강한 반발을 예상해서인지 과거와 달리 가정 상비약 수준의 의약품만 허용 해 달라고 강조한다. 마치 선심 써서 크게 양보하는 듯 한 태도이다.

과거에 수퍼판매를 강하게 주장하던 편의점단체나, 수퍼단체, 경실련 등은 쑥 들어가고 생소한 시민단체들이 줄지어 전면으로 부상하고 있다.

편의점단체, 수퍼단체등은 아무래도 특성상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적극 주장하는 모양새가 강하기 때문으로 보여 진다.

약사회 심야약국 평가회에서 경실련 대표로 나온 정승준 씨는 ktv 정책방송 토론에서는 한양대 의대 교수로만 참석해 수퍼 판매에 대해 논했으며 다소 중간자적 입장을 견지하는 모양새를 보였다.

◆국민 대다수가 원한다고?

시민단체들의 설문조사도 가히 편협적이다.

대한민국의 약국 접근성이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다고 하더라도 수퍼나 편의점을 따라가지 못한다.  

   
◆이런 모습의 약국이 있는한 약사직능 확립은 점점 어려워 진다.
국민들은 약국에서 파는게 맞다고 생각하면서도 수퍼에서도 파는 걸 어떻게 생각하느냐면 당연히 수퍼에서도 팔면 좋다고 대답할 것이다. 사실 이런류의 설문은 답이 뻔 한 것이다. 왜곡된 면이 있다. 

이처럼 모두들 자신들의 주장이 맞다고 하지만 모두들 모순점을 지니고 있다.

약사회로서는  결국 출발점으로 되돌아가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안 일 수도 있다. 그 원인을 약국과 약사들이 제공한 것이 아닌가 짚어보고 원인 제거에 나서는 것이 수순 일수도 있다.  복약지도의 강화가 첫순위다.

아울러 정부에서도 일관성을 지녀야 한다.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약물 위해 사례가 적게 보고돼 왔다.최근년 들어 약물역학위해관리 학회등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모든 의약품의 위험 사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수퍼판매와 관련 한 40대 여약사의 목소리를 들어보자.

얼마전 S약국에 전화를 걸어 수퍼판매 관련 의견을 들었다.

“통행금지가 다시 있었으면 좋겠어요.  그런 생각들 정도로 외부의 주장이 울화가 치밉니다. 선진국 운운하는데 사실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 만큼 약국 접근성 좋은 나라 없어요. 아마 수퍼판매하는 선진국도 우리나라 만큼 접근성 좋으면 안할 겁니다. 일본요? 일본이 최근 일반약 수퍼판매가 많이 풀렸다지만 의약분업 제도가 우리나라와 달라요. 보조원제도도 있고요. 약국도 거의 편의점과 유사한 경우가 많아요.”라며 조목조목 비판했다.

그는“물론 약사들이 복약지도 안하는 경우 많아요. 그건 인정합니다. 그런데 그게 수퍼판매 이유 되나요? 전 아니라고 봐요. 그건 질타를 받아야 할 부분일 뿐이지요. 쌍거풀 수술 야매로 하면 가격 싸고 방문도 해요. 고객 입장에서는 편의성이 좋은거죠. 그렇다고 그걸 양성화 하라고 요구할 수 있나요? 100%불법이에요. 의사라는 전문가를 국가에서 보호해 주는 거죠. 그런데 왜 약은 안 그래요. 조금 다른 상황이지만 약도 약사라는 전문가에게 맡겼으면 수퍼판매 운운하면 안 되죠. 안전성 있는 약은 약 아닌가요?” 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계속 말을 이었다.

“심야나 공휴일에 약 구입하기 불편하다고 말하는데 그럴 수 있겠죠. 그런데 과연 정말 응급이라서 약이 필요한 경우가 얼마나 될까요. 실제로 심야에 약국을 문 열면 숙취 해소제 찾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멀리서 찾아오는 고객이 응급인 경우가 많은데 처방이 필요한 약이 대부분이에요. 수퍼에서 팔라는 진통제, 소화제 같은 약 찾는 환자는 극소수에요. 약을 왜 약국에서만 팔까요? 아무리 약에 대해 경각심이 없다고 편의점 알바 학생에게 약을 사겠다니...안그래도 요즘 청소년 진통제 남용문제로 사회적으로 파장이 큰데 도대체 어쩌려고 이러는지 모르겠어요”라고 강조했다.

의약품 수퍼판매 허용 논란은 정답이 없다. 해결책도 없다. 가장 좋은 해결책은 원점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다. 전문직능인이 제역할을 다하면 누구도 딴지를 걸수 없다.

김종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메디코파마뉴스(http://www.emedico.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