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막 잠, 뇌 기억형성 방해 | ||||||
수면 시간과 무관하게 영향 | ||||||
| ||||||
토막 수면이 뇌의 기억 형성을 방해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Luis de Lecea 박사는 전체적인 수면시간은 정상이라도 중간 중간 잠이 깨거나 얕은 잠을 자면 낮에 있었던 일을 기억에 저장하는 뇌의 기능이 방해를 받는다고 밝혔다. 레세아 박사는 광유전학을 이용, 수면과 각성의 전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쥐의 특정 뇌 세포를 빛으로 제어할 수 있게 만든 뒤 쥐의 뇌에 직접 광펄스(light pulse)를 보내 수면을 방해하는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렇게 하면 쥐는 전체적인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 또는 수면의 구성에는 영향을 미침이 없이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레세아 박사는 이런 방법으로 수면방해를 받은 쥐와 정상 쥐들을 이들이 전에 이미 본 적이 있는 물건 두 개와 함께 우리에 넣었다. 쥐는 처음 보는 물건은 많은 시간을 들여 이리저리 살펴보게 마련이다. 그런데 수면을 방해받은 쥐들은 전에 본 물건인데도 처음 보는 것처럼 오랫동안 살펴보았다. 이는 이미 보았던 물건에 대한 기억이 형성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실험결과는 수면의 지속성 결여가 알츠하이머병 같은 기억상실을 가져오는 여러 질환을 유발하는 요인 중 하나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레세아 박사는 말했다 | ||||||
|
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외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종 슈퍼 살모넬라 균 발견 (0) | 2011.08.05 |
---|---|
콩. 현미, 대장용종 억제효과 탁월 (0) | 2011.08.03 |
뉴질랜드, 자판기 약 판매, 찬-반 논란 일어 (0) | 2011.08.03 |
폭식으로 슬픔, 화 해소 효과 규명 (0) | 2011.07.27 |
모유먹은 아이, 천식 발생률 낮아 (0) | 2011.07.25 |
英, 치매환자 향정신성 약물 처방 금지 (0) | 2011.07.25 |
낙관적인 사람 뇌졸중 위험 낮아 (0) | 2011.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