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자 전구세포로 인슐린 생성 가능 | ||||||
정조줄기세포, 췌장 베타세포로 분화시켜 | ||||||
| ||||||
정자의 전구세포로 인슐린을 만들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베타세포가 크게 부족해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하는 1형 당뇨 환자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갈리카노 박사는 이 방법을 통해 1형(소아)당뇨병 모델 쥐를 단기간이나마 1주일 동안 완치시킬 수 있었다는 것. | ||||||
|
반응형
'◆의료/병원/바이오벤처 > ▷외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만인 사람, 비타민D 합성 낮아 (0) | 2010.12.20 |
---|---|
어린이, 탄산음료통해 카페인 섭취 증가 (0) | 2010.12.20 |
HDL, 노인성 치매 예방에도 효과 (0) | 2010.12.14 |
흡연 피해, 흡연여부.양과 무관.. 심장발작 위험 (0) | 2010.12.13 |
포도껍질 함유 성분 당뇨예방 효과 있나 (0) | 2010.12.13 |
항암효과 높이는 전기충격 장치 개발 (0) | 2010.12.10 |
간접흡연, 아동 정신건강 악영향 (0) | 201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