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06 342

한미약품 월1회 투여 희귀질환 혁신신약 개발 가능성

한미약품 월1회 투여 희귀질환 혁신신약 개발 가능성 단장증후군. 고인슐린혈증...미국 세계내분비학회서 한미약품이 세계 최초 월 1회 투여 제형으로 개발 중인 단장증후군 치료제 등 2개 희귀질환 치료 후보물질의 주요 연구 결과를 새롭게 발표한다. 한미약품은 15일부터 18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세계내분비학회(ENDO, Endocrine Society)에 참가해 단장증후군 치료제로 개발 중인 LAPSGLP-2 analog(HM15912)와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LAPSGlucagon analog(HM15136)에 대한 3건의 연구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16일 밝혔다. 단장증후군과 선천성 고인슐린혈증은 현재 치료제가 없거나 쓰이고 있는 치료제의 한계가 뚜렷한 희귀질환으로, 병..

종수약품 '홈세이프 소독용에탄올' 자체 생산 출시

종수약품 '홈세이프 소독용에탄올' 자체 생산 출시 가격 경쟁력 갖춰 ..약국. 병의원.도매업체 등 거래선 확대 종수약품(대표 나종수)이 자체 생산 시설을 갖추고 소독용에탄올을 본격 생산.공급한다. 종수약품의 자체 브랜드인 ‘홈 세이프’ 상표를 달고 출시되는 ‘홈세이프 소독용 에탄올’은 기존 약국 공급망은 물론, 의료기관과 의약품도매업체들을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영업에 나섰다. 인천에 위치한 생산 시설은 최근 경인식약청으로부터 외용소독제 제조허가 취득을 통해 가동에 들어갔다. 제품라인은 이런 다양한 사용처에 맞게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스프레이형 60㎖. 300㎖. 500㎖와 ▲용기제품 250㎖,1ℓ. 4ℓ. 18ℓ등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대용량 제품 등 다양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나종수 종수약품 대표..

한독, ‘트레져 헌터 트립’ 참가자 모집

한독, ‘트레져 헌터 트립’ 참가자 모집 23일까지 한독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한독(대표이사 김영진, 백진기)이 대한민국에 숨겨진 특별한 보물을 찾아 떠나는 ‘트레져 헌터 트립(Treasure Hunter Trip)’ 참가자를 모집한다. ‘트레져 헌터 트립’은 한독이 전통문화의 가치와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2012년부터 매년 진행하고 있는 ‘인간문화재 지킴이 참여마당’의 일환이다. 새로운 경험을 선호하는 MZ세대를 겨냥해 재미와 의미를 더한 특별한 체험으로 준비했다. ‘트레져 헌터 트립’ 참가자들은 오는 7월 7일 하루 동안 보물 사냥꾼이 되어 충북 등지에서 특별한 보물을 찾게 된다. 첫 번째 미션은 닥터H가 한독의약박물관에 숨겨놓은 단서를 추리해 그가 숨겨놓은 보물인 명약을 찾는 것이다. 이어 두번째..

존슨앤드존슨메디칼, 부정맥 진단용 카테터 ‘옥타레이’ 출시

존슨앤드존슨메디칼, 부정맥 진단용 카테터 ‘옥타레이’ 출시 TRUEREF 기술 적용한 옥타레이 매핑 카테터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 바이오센스웹스터(Biosense Webster) 사업부는 CARTO 3 Version 7 시스템으로 작동하는 새로운 TRUEref 기술을 적용한 부정맥 진단 카테터 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옥타레이는 심방세동을 포함한 주요 심장 부정맥의 진단을 위해 인체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접촉부와 전극 관련 신기술을 도입해 기존 제품에 비해 진단 속도와 정확도가 크게 개선된 제품이다. 심장의 상태를 진단하는 접촉부(스플라인)의 수를 기존 5개에서 8개로 늘리고, 길이도 다양화해 진단이 가능한 범위를 늘렸다. 또한, 전극의 크기를 축소해 간격을 줄이는 대신 전극 수는 20개에서 48개로 늘려 보..

GC지놈, 장내 미생물과 고혈압 간 연관성 밝혀

GC지놈, 장내 미생물과 고혈압 간 연관성 밝혀 국제 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마이크로바이옴’게재 임상유전체분석 전문기업 GC지놈의 기창석 대표와 송주선 전문의는 강북삼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권민정 교수 연구진과 공동 연구를 통해 장내 미생물과 고혈압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논문이 미생물학 분야의 저명한 국제 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마이크로바이옴(Frontiers in Microbiomes)에 게재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논문은 ‘장 유형에 따른 장내 미생물과 고혈압 간의 연관성(The association between gut microbiome and hypertension varies according to enterotype: a Korean study)’이라는 제목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식..

당뇨병학연구재단, 카카오헬스케어와 업무협약

당뇨병학연구재단, 카카오헬스케어와 업무협약 당뇨병의 관리와 유병률 감소 협력 당뇨병학연구재단(이사장 원규장)은 지난 6월 14일,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인 카카오헬스케어(대표 황희)와 최근 환자와 위험군이 모두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의 심각성에 공감하여, 당뇨병의 관리와 유병률 감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연속혈당측정장치(CGM)를 활용하여 당뇨병의 유병률을 줄이고 당뇨병 환자의 혈당 관리와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및 당뇨병과 혈당 관리를 위한 교육과 홍보 활동 등을 함께 추진한다. 대한당뇨병학회가 작년에 발표한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2에 따르면 우리나라 30세 이상의 당뇨병 환자수는 지난 10년 사이 320만 명에..

클래시스, 아시아 클래시스 인사이트 심포지엄

클래시스, 아시아 클래시스 인사이트 심포지엄 태국서...피부과. 성형외과 최신 트렌드. 기술 공유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클래시스(대표: 백승한)가 태국 방콕에서 6월 9일부터 11일까지 열린 IMCAS ASIA 2023에 참여했으며, 4회째 개최되는 클래시스 인사이트 심포지엄(Classys Insight Symposia)도 방콕 파크 하얏트에서 성황리에 마무리하였음을 15일 밝혔다. 국제 세계 3대 미용 및 성형학회인 IMCAS(International Master Course on Aging Science)가 개최하는 IMCAS ASIA 2023은 올해 16회째를 맞이했으며, 피부과, 성형외과 분야의 최신 트렌드 및 혁신 기술을 다루어 각국의 업계 관계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클래시스..

동아제약, 여드름 흉터 치료제 ‘노스카나’ 신규 광고 온에어

동아제약, 여드름 흉터 치료제 ‘노스카나’ 신규 광고 온에어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은 흉터 치료제 ‘노스카나’의 신규 광고를 최근 선보였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신규 광고는 “여드름 흉터, 흉지면 약도 없다는데”, “약 있습니다”라는 멘트와 함께 노스카나로 여드름 흉터를 관리하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광고에는 5년 째 노스카나 모델로 활약하고 있는 배우 혜리가 출연했다. 동아제약은 TV광고 버전 외에도 ‘여드름 흉터없이 깨끗한 피부 만드는 법’, ‘마스크편’, ‘면도편’, ‘방학편’ 등 다양한 디지털 영상을 동아제약 유튜브를 통해 공개했다. 노스카나는 헤파린나트륨, 덱스판테놀, 알란토인 3중 복합성분으로 구성된 겔타입의 일반의약품이다. 최근 첨가제로 비타민B3, 비타민E를 추가해 새롭게 출시했..

먼디파마, 질염 치료제 지노베타딘 패키지 리뉴얼 출시

먼디파마, 질염 치료제 지노베타딘 패키지 리뉴얼 출시 한국먼디파마(유)(컨슈머헬스사업부 대표 조성운)가 질염 증상 관리 및 치료에 도움을 주는 지노베타딘의 패키지를 리뉴얼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세균이나 곰팡이류의 번식이 쉬워 질염 발생의 위험이 크다. 질염은 여성의 감기라고 불릴 정도로 여성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질환이다. 질염은 원인에 따라 크게 칸디다 질염, 세균성 질염, 트리코모나스 질염으로 구분되며, 칸디다 질염은 여성의 약 72% 정도가 평생 한 번은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염의 증상으로는 질 분비물의 증가, 악취, 화끈거림과 가려움증, 성교통, 배뇨통 등이 있다. 지노베타딘은 광범위한 살균 효과를 지닌 포비돈 요오드를 주성분으로 한 질염 치료제로 60년 이상 전세..

애드바이오텍, 진셀바이오텍과 업무협약 체결

애드바이오텍, 진셀바이오텍과 업무협약 체결 나노바디 항체 식물세포배양 생산기술 개발 면역항체 전문 바이오 기업 애드바이오텍(대표 정홍걸, 179530)은 재조합 단백질 대량생산 플랫폼 전문 회사인 진셀바이오텍(대표 권태호, 김강호)과 식물세포배양 기술을 이용한 나노바디 항체의 대량생산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애드바이오텍은 나노바디 항체 기술을 이용해 축산, 수산 등 다양한 항체제품을 개발해오고 있다. 나노바디(VHH: Variable heavy chain domains of heavy chain antibody)는 기존 항체의 1/10 정도로 크기가 작아 조직 침투성이 강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다. 단일 도메인 항체 생산으로 기존에 있던 항체개발의 어려움과 비싼 가격 등의..

씨젠 기술공유 사업에 英 스프링거 네이처 참여

씨젠 기술공유 사업에 英 스프링거 네이처 참여 전략적 파트너 참여..세계적 과학커뮤니티 리더 PCR 분자진단 토탈 솔루션 기업 씨젠의 기술공유 사업에 세계적인 과학 커뮤니티 리더이자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를 발행하는 영국의 스프링거 네이처(Springer Nature)가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한다. 씨젠은 15일 “최근 스프링거 네이처와 기술공유 사업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과학, 기술 및 의학 분야 세계 최대의 학술 전문 출판사인 스프링거 네이처는 약 3,000개의 학술지를 발간하고 있다. 매년 140만여편의 논문이 투고되며 엄격한 심사를 거쳐 연간 40만여편의 논문을 발행한다. 이번 파트너십 체결은 스프링거 네이처가 씨젠이 추진하는 기술공유 사업..

대웅펫, 산업부 국책과제 협약식

대웅펫, 산업부 국책과제 협약식 세계 최초 반려동물 근감소증 혁신신약 개발 반려동물 헬스케어 전문기업 대웅펫(대표 문재봉, 이효준)은 ㈜라트바이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국가정책과제로 선정된 ‘반려동물 근감소증 치료를 위한 세포추출(유전자) 유래물질의 서방형 복합제제 개발’ 협약식을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대웅펫 문재봉 대표, ㈜라트바이오 장구 대표, 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정윤기 책임연구원,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방석호 교수 등 각 기업·기관·학교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대웅펫, ㈜라트바이오, KIST, 성균관대학교는 이번 협약을 통해 세계 최초 반려동물 근감소증 혁신신약 (First-In-Class) 개발에 박차..

화이자제약, 희귀질환 환자 교통비 지원 사업

화이자제약, 희귀질환 환자 교통비 지원 사업 ‘2023 얼룩말 캠페인’ 전개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희귀질환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환자들의 질환 극복을 응원하기 위한 ‘얼룩말 캠페인’의 일환으로 2023년 희귀질환 환자 교통비 지원 사업을 전개하고, 캠페인 참여자를 6월 15일부터 선착순으로 모집한다고 밝혔다. 2023년 교통비 지원 사업 대상자는 희귀질환(헬프라인 고시 질환)으로 진단받은 저소득층 환자로, 치료를 위해 발생한 교통비 및 유류비에 대해 환자 1인당 최대 50만 원까지 지원이 이루어진다. 특히, 작년 160명의 환자를 선발했던 것과는 달리, 올해에는 인원 제한을 없애고 지원 요건을 충족하는 신청자를 선착순으로 모집해 보다 유동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보다 많..

시지바이오,차세대 척추 솔루션 공개

시지바이오,차세대 척추 솔루션 공개 글로벌 3대 척추학회서 글로벌 재생의료 전문기업 시지바이오(대표이사 유현승)가 최근 체코 프라하에서 개최된 세계척추회의 ‘Global Spine Congress 2023(이하 GSC 2023)’에 참가했다고 15일 밝혔다. GSC 2023은 매년 전 세계 척추 명의 등 2천여 명의 방문자가 참여하는 국제 3대 학회 중 하나로, 척추분야 권위자의 강연과 임상경험, 연구 결과 등을 공유하는 명망 높은 학회다. 시지바이오는 이번 GSC 2023 현장에서 ‘노보시스(NOVOSIS)’와 ‘노보맥스(NOVOMAX)’, ‘엑센더(Excender)’ 등 자사의 척추 분야 파이프라인의 주요 제품을 소개했다. 국내 최초 바이오 융합 의료기기 ▲노보시스(NOVOSIS)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

셀바스헬스케어, 유상증자 발행가액 5,250원 확정

셀바스헬스케어, 유상증자 발행가액 5,250원 확정 구주주청약 19일, 20일 양일간 진행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 셀바스헬스케어(KOSDAQ 208370)가 유상증자 공모 발행가액을 확정했다. 셀바스헬스케어는 주주배정 유상증자 신주 발행가액을 주당 5,250원으로 확정했다고 15일 공시했다. 유상증자 구주주 청약은 오는 19일, 20일 양일간 진행되며, 20일 오후 2시 마감 예정이다. 신주는 총 400만주가 발행되며 7월 11일 상장 예정이다. 셀바스헬스케어는 이번 증자 후 모기업 셀바스AI와 함께 AI 원격의료 및 AI 의료진단 신제품 개발 등 AI 융합 신규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미 자사의 HW 기술과 모기업 셀바스AI의 인공지능 SW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화를 준비 중이다. 여기에 미국 FD..

대원제약, 제13회 대원하모니 정기연주회

대원제약, 제13회 대원하모니 정기연주회 14일 유니버설아트센터 대극장서 열려 대원제약(대표 백승열)은 임직원 합창단 ‘대원하모니‘의 제13회 정기연주회가 14일 저녁 유니버설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열렸다고 밝혔다. 대원하모니는 2007년 창단한 사내 임직원 합창단이다. 합창을 통해 삶의 활력을 느끼며 직원들 간 유대와 소통의 장을 만들고, 문화 봉사를 통해 이웃들에게 사랑을 전하고자 매년 정기연주회를 개최해 왔다. 대원제약의 대표적인 문화 공헌 활동이었던 대원하모니 정기연주회는 코로나19로 인해 한동안 열리지 않다가 4년 만에 개최됐다. 지난 2013년부터 정기연주회를 함께 하고 있는 ‘하트-하트재단(이사장 신인숙‘)의 발달장애인 오케스트라 ‘하트하트오케스트라‘와 합동 공연으로 진행됐다. 하트-하트재단은 ..

JW중외제약, ‘헴리브라’ 임상 3상(HAVEN2) 저자 초청

JW중외제약, ‘헴리브라’ 임상 3상(HAVEN2) 저자 초청 미국 LA어린이병원 가이 영 교수 웨비나 JW중외제약은 최근 A형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의 항체 소아환자 대상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웨비나(웹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헴리브라 임상 3상(HAVEN2) 논문 저자인 가이 영(Guy Young) 미국 로스앤젤레스 어린이병원 케크의과대학 소아과 전문의가 연자로 나섰다. 영 교수는 12세 미만의 A형 혈우병 환자 중 항체를 보유한 8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HAVEN2)에서 연평균 출혈 빈도(ABR)가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혈전 관련 이상반응도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을 밝혀냈다. 영 교수는 웨비나를 통해 항체 보유 소아환자 대상 헴리브라의 약효와 안전성에 대해 ..

신테카바이오, AI 발굴 항암 신약후보물질 포스터 발표

신테카바이오, AI 발굴 항암 신약후보물질 포스터 발표 대한암학회 학술대회서 AI 신약개발 전문기업 신테카바이오(226330, 대표 정종선)가 6월 15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제49차 대한암학회 학술대회 및 제9차 국제암컨퍼런스에서 자사의 AI 기술로 발굴한 신규 항암 후보물질 STB-C070에 대해 포스터 발표한다고 15일 밝혔다. STB-C070은 신규 표적에 대한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 항암 저해 물질로, 우수한 표적 저해능, 선택성, 뇌혈관장벽(BBB) 투과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암 세포주에서 성장 저해 효과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성이 높고 BBB 투과율이 우수한 만큼 개발 성공 시 기존 항암제의 미충족 수요를 해..

유와이즈원,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공급기업 선정

유와이즈원,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공급기업 선정 스마트러너•메디세이 70% 할인 공급 협업솔루션 전문기업 유와이즈원은 업무 협업툴인 ‘스마트러너’와 ‘메디세이’가 ‘2023년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비대면 서비스 바우처 사업은 중소기업 및 병원의 업무 디지털화 촉진을 지원하고, 비대면 서비스 전환 및 이용료를 지원하는 정부 지원 사업이다. 비대면 서비스가 필요한 수요기업들은 화상회의, 재택근무, 네트워크•보안솔루션, 메타버스 사무실 등 4개 분야의 비대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지급해 최대 70%를 지원한다. 이번 사업에서 유와이즈원은 비대면 서비스 분야 중 기업용 재택근무 협업툴 분야인 그룹웨어 ‘스마트러너’(SMART RU..

2023년 제4차 중증(암)질환심의위원회 심의결과

2023년 제4차 중증(암)질환심의위원회 심의결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강중구)은 2023년 제4차 암질환심의위원회(6.14.)에서 심의한 ‘암환자에게 사용되는 약제에 대한 급여기준 심의결과’를 다음과 같이 공개했다. 구분 품 목 제약사 효능․효과 심의 결과 요양급여 결정신청 젬퍼리주 (도스탈리맙) ㈜글락소 스미스클라인 이전 백금기반 전신 화학요법의 치료 중이거나 치료 후 진행을 나타낸 재발성 또는 진행성 불일치 복구결함 (mismatch repair deficient, dMMR)/고빈도 현미부수체 불안정 (microsatellite instability-high, MSI-H) 자궁 내막암이 있는 성인 환자의 치료 급여기준 설정 가브레토캡슐 (프랄세티닙) ㈜한국로슈 전신요법을 필요로 하는 RET 변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