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법 개정안 국회통과와 관련 시도지부장들의 사퇴가 잇따르고 있다.
이들은 사퇴의 변에서 한결 같이 김구 대한약사회장과 비대위 및 협의와 관련된 임원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어 대약 집행부에 심리적 압박을 가중시키고 있다.
현재까지 자의건 타의건 사퇴의사를 밝힌 지부장은 17일 김현태 경기도약사회장을 필두로 송종경 인천시약사회장이 회원에 재신임을 물었고, 옥순주 전남약사회장도 정기총회 석상에서 사퇴의사와 함께 김구 회장의 소신 있는 결단을 촉구했다.
이중 김현태 지부장은 힘의 싸움에서 밀렸다는 소회와 함께 이번 사태에 대해 회원의 민의를 거스르고 약사 사회에 자존심의 상처를 준데 대해 김구 회장과 책임져야할 임원은 책임지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송종경 인천시약사회장은 김현태 지부장과 옥순주 지부장이 대약집행부 입장에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고 동참하지 않았던 지부장이었던데 반해 투쟁과정에서 대약집행부에 반대의사를 표하지 않은 지부장이었다.
그러나 회원의 뜻(투쟁)을 저버리고 독자적인 결정에 따라 대약집행부에 동참했다는 점에서 회원들은 "송지부장의 불신임은 김구 대한약사회장이 책임지지 않고 오히려 자화자찬을 하는데 따라 송종경 지부장에게 그 책임을 묻는 것이므로 김구 약사회장과 국회 통과 당시 비대위는 책임지고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옥순주 지부장의 경우도 의외다.
옥 지부장은 16일 참석한 대약 최종이사회에서 그동안 견지해오던 약사법 개정안 통과 반대에 대해 어떤 의견도 내놓지 않고 다만 약국에서 약사법 위반시 형사처벌만 하고 행정처분은 하지 말아 줄 것을 건의하는 등 자기반성을 통해 보다 나은 약사직능 확보에 나서자는 발언만 했다.
만약 그가 국회 법안심사소위 통과 후에도 입장을 견지했다면 이날 최종이사회에서 집행부의 책임을 묻는 발언을 해야 했으나 그렇지 않았다는 점에서 18일 열린 정기총회석상에서의 사퇴발언은 의외다. 이후 분회장의 사퇴에 심리적 압박을 크게 느꼈을 가능성이 크다.
◆회원정서에 심리적 압박 커
어쨌든 대약 협의안에 반대했던 서울, 경기, 광주, 전남 지부 중 경기, 광주 지부와 인천지부장의 사퇴는 16개 지부 중 20%가량을 차지하는 결코 적지 않은 숫자라는 점에서 대약 김구회장에 큰 심리적 압박을 가할 것이 분명해 보인다.
반면 다른 지부에서도 이번 약사법 통과 건에 대해 회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정기총회를 통해 수렴했으나 상당수는 지부장 사퇴나 김구 회장 사퇴를 촉구하기보다 심기일전의 계기로 삼아 닥쳐올 더 큰 현안을 단합을 통해 이겨내자는 분위기 였다.
문제는 이들 지부장들 이전에 해당 지부 분회장들의 사퇴가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다.
분회장들의 사퇴는 사실상 약사회 조직의 붕괴내지 위기라고 할 수 있다.
최하위 조직이 반회이긴 하지만 실질적인 조직을 움직이는 최하위 조직은 분회이기에 더욱 그렇다.
경기도약사회도 분회장 들이 사퇴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남약사회도 몇몇 분회장 들이 사퇴를 제출했다. 인천시약사회도 역시 회장 불신임안이 채택되면 일괄 사퇴하겠다고 선언했다.
인천지역 한 대의원은 “송 회장의 불신임안은 사실상 김구 회장과 대약 비대위에 책임을 묻는 것이고 그들에게 심리적으로 최소한의 책임을 지라는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따라서 만약 전남. 인천 지부장의 사퇴가 현실화된다면 약사회조직은 절름발이 조직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가벼운 사안은 아닌 듯 하다.
이와 관련 한 지부약사회 관계자는 “김구 회장과 집행부가 일말의 양심이 있다면 약사법 개정 통과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치더라도 그 부분에 대해 회원들에게 의미 있는 사과의 표현을 전할 필요는 있다. 회원들은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설사 그럴 의사가 없다 하더라도 회원들에게 진정성을 갖고 의미있는 사과의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본다. 회원들의 정서는 여전히 분노에 차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행동 있는 사과라는 것은 김구 회장의 사퇴이지만 그것이 힘들다면 회원들에게 재신임을 묻는 절차를 갖는 것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오는 28일 열리는 대약 정기대의원 총회 전에 산하 지부나 분회에서 대약 집행부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더 많아지고 커진다면 김구 회장이 대의원 총회에서 어떤 식으로든 입장 표명을 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이 커지고 있다.
|